국어 문법

자음군 단순화

온암 2024. 4. 13. 13:06
300x250
728x170

 

자음군 단순화 뜻

 

자음군 단순화란, 종성의 겹받침이 단순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음절의 종성에는 밥[ㅂ], 콩[ㅇ]처럼 하나의 자음이 올 수도 있지만,

닭[ㄹㄱ], 밟다의 '밟'[ㄹㅂ]처럼 여러 자음이 올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종성(끝소리)에 여러 개의 자음이 놓일 적에는 그 중 하나는 탈락하는데, 이를 자음군 단순화라고 합니다.

 

예) 닭 [닥]

예) 젊다 [점따]

 

 

 

겹받침 중 앞의 자음이 소리나는 경우

1. 용언의 어간의 끝소리가 'ㄹㄱ'이고 다음 첫소리가 'ㄱ'인 경우

예) 묽고: 기본형이 '묽다'이므로 어간은 '묽-'입니다. '묽고'는 '묽다'의 활용형이고 어미의 첫소리가 'ㄱ'이므로

겹받침 중 'ㄹ'이 소리나는 경우가 됩니다. 따라서 [물꼬]로 발음합니다.

 

 

2. 겹받침 'ㄹㅂ' -> [ㄹ] (대부분의 경우)

예) 여덟: 예외 사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ㄹ'을 소리내어 [여덜]로 발음합니다.

예) 엷다: 예외 사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ㄹ'을 소리내어 [열따]로 발음합니다.

 

3. 겹받침 'ㄹㅅ' -> [ㄹ]

예) 곬: 겹받침 'ㄹㅅ'에서 'ㄹ'을 소리내어 [골]로 발음합니다.

 

4. 겹받침 'ㄱㅅ' -> [ㄱ] 

예) 삯: 겹받침 'ㄱㅅ'에서 'ㄱ'을 소리내어 [삭]으로 발음합니다.

 

5. 겹받침 'ㄴㅎ' -> [ㄴ]

6. 겹받침 'ㄹㅌ' -> [ㄹ]

7. 겹받침 'ㄹㅎ' -> [ㄹ]

8. 겹받침 'ㅂㅅ' -> [ㅂ]

예) 값: 겹받침 'ㅂㅅ'에서 'ㅂ'을 소리내어 [갑]으로 발음합니다.

 

겹받침 중 뒤의 자음이 소리나는 경우

1. 'ㄹㄱ' -> [ㄱ] 어말 또는 자음 앞인 경우

예) 닭: 어말에 'ㄹㄱ'이 있기 때문에 [닥]으로 발음합니다.

예) 낡다: '낡' 뒤에 'ㄷ'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낙따]로 발음합니다.

 

2. 'ㄹㅁ' -> [ㅁ] 어말 또는 자음 앞인 경우

예) 삶: 어말에'ㄹㅁ'이 있기 때문에 [삼]으로 발음합니다.

예) 젊다: '젊' 뒤에 'ㄷ'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점따]로 발음합니다.

 

3. 'ㄹㅍ' -> [ㅂ] 어말 또는 자음 앞인 경우

예) 읊다: '읊' 뒤에 'ㄷ'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읍따]로 발음합니다.

[참고] '읊다'의 활용형인 '읊어'의 경우 '읊' 뒤에 초성이 없기 때문에 [을퍼]로 발음합니다. 이때 음운은 탈락하지 않습니다.

 

4. 받침 'ㄹㅂ' 예외인 경우

얇다[얄따] 밟다[밥따], 밟고[밥꼬]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넓적다리[넙쩍다리]

 

 

 

 

 

 

 

300x25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