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5/6 - 음악 집중 오답노트

by 온암 2021. 5. 6.

온암의 생각상자

1. 정간보에서 실선 정간 한 칸은 (기본박)을 의미한다.

 

 

2. 음악을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며, 음악과 가치에 대한 안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생활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3. [4음01-05] 주변의 소리를 탐색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4. [뒷교] 평가 결과는 (교수 학습 계획)과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5. 현악 영산회상의 9곡 : 상영산 - 중영산 - 세영산 - 가락덜이 - 삼현도드리 - 하현도드리 - 염불도드리 - 타령 - (군악)

 

 

6. 소금의 혀치기 : '()'를 발음하듯 혀를 움직여 각 음이 구분되도록 연주한다.

 

 

7. [6음02-01] 해설 : 악곡에서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알고, 소리, 언어, 그림, 신체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8. 악곡의 리듬꼴과 장단꼴을 충분히 습득한 후, 창의적으로 리듬꼴과 장단꼴을 바꾸어 표현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지도)한다.

 

 

9. 구음 '기덕'의 명칭은? 겹채

 

 

10. 학생 스스로가 특정한 주제나 영역에 대하여 학습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 것을 평가하는 방법은?

자기 평가

 

 

11. 아리랑 : 세마치장단의 기본박을 익힐 때 사용할 수 있는 것 2가지는? 손뼉, 무릎장단

 

 

12. 나란한 조의 두 으뜸음의 음정은? 단3도

 

 

13. [6음01-01], [6음01-02] 해설 : (상략)... 이때 악곡에 포함된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를 (활동)과 연계하여 학습하면서 음악 개념을 형성하고, 특히 (악곡의 특징)을 살펴서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하며, 느낌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14. 생활화 영역의 핵심 개념 2가지 : 음악과 생활, (음악을 즐기는 태도)

 

 

15. [피터와 늑대] 오리는 오보에로 연주하며, (Andantino)의 빠르기로 연주한다.

 

 

16. [잠자리] 뛰어가기 가락의 표현은 복식 호흡을 이용하여 고르게 (텅잉 주법)으로 분다.

 

 

17. [빗방울의 노래] 동형 진행 - 같은 (가락꼴)이 (음높이)를 달리하여 반복되는 것

가락이 반복되면 동형진행이 아님

 

 

18. 가야금 구음 : 청-흥-둥-()-동-징-땅-()-찡-칭-쫑-()

청흥둥 당동 징땅 지찡 칭쫑쨍

 

 

19. 고든의 학습 위계 : (변별학습) -> 추론학습

 

 

20.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 음악은 소리를 통해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예술로, 인간의 (창의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며 (인류 문화)를 계승/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21. 서도 민요(수심가조) : 레와 라에서는 콧소리를 섞어 잘게 떨어주고, ()음은 흘러내리는 소리가 특징이다.

 

 

22. [4음01-06] 해설 (2) : 악기를 연주할 때 바른 자세와 주법이 좋은 울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체험하고 악기의 특징에 따른 바른 자세와 (기본적인 주법)을 익혀 연주하도록 한다.

 

 

23. 음악과 초등학교 학교급별 목표

가. 음악의 (구성) 및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연주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나.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는다.

 

 

24. 봉산 탈춤은 몇 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일곱 마당

 

 

25. 소금에서 '중청중'을 소리낼 때 막아야 할 구멍은? 6공

 

 

26. [뒷교] 음악 (표현)능력과 음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영역별 연계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27. 대취타에서 타악기는? 용고, 자바라, 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