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특수임용 총론) 중학교 편제와 시간 배당기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온라인암기장 가.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1) 편제 가)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나)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 다) 선택 교과는 한문, 환경, 생활 외국어(생활 독일어, 생활 프랑스어, 생활 스페인어, 생활 중국어, 생활 일본어, 생활 러시아어, 생활 아랍어, 생활 베트남어), 보건, 진로와 직업 등의 과목으로 한다. 라)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자치 활동, 동아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2) 시간 배당 기준구 분1~3학년교과(군)국어442사회(역사 포함)/도덕 510수학374과학/기술가정/정보680체육272예술(음악/미술)272영어340선택170소계3,060창의적 체험활동3.. 2025. 4. 27.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2022개정 총론 #4 -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참고] 이 온라인 암기판은 초등교원임용경쟁시험(이하 임용고시라 함)을 준비하는 예비선생님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암기판에 질문이 있으실 경우,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자료 출처: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기본사항 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공통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점 기반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한다. * 고교학점제 나.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을 바탕으로 학년(군)별 교육과정 및 교과(군)별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 다. 학년 간 상호 연계와 협력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학년군을 설정한다. 라. 공통 교육과정의 교과는 교육 목적상의 근접성, 학문 탐구 대상 또는 방법상의 인접성, 생활.. 2023. 4. 30. [초등임용]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빈칸연습 | 2022총론 암기장 [참고] 마우스 커서를 빈칸에 올려놓으면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비선생님들의 좋은 결과를 바랍니다. (자료 출처: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설계의 원칙 [2025초등] 가. 학교는 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설계⋅운영하며, 학생의 특성과 학교 여건에 적합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1)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폭넓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을 통해 다양한 영역의 세계를 탐색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전인적인 성장/발달이 가능하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한다. 2) 학생 실태와 요구, 교원 조직과 교육 시설⋅설비 등 학교 실태, 학부모 의견 및 지역사회 실정 등 학교의 교육 여건과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3) .. 2023. 4. 30. 2022개정 교육과정 | 교육과정의 성격 온라인 암기판 (임용고시 대비 총론 온라인암기판) [참고] 이 온라인 암기판은 초등교원임용경쟁시험(이하 임용고시라 함)을 준비하는 예비선생님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암기판에 질문이 있으실 경우,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자료 출처: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교육과정의 성격 이 교육과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3조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한 것으로, 초⋅중등학교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중등학교에서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을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것이다. 2022개정 교육과정 기준의 성격 5가지 총론의 성격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슷합니다. 가. 국가 수준의 공통성을 바탕으로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사항을 제시한다. 나. .. 2023. 4. 2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성격 | 같이 보면 좋은 글 -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배경, 수학 교과 역량 | 목차 I. 수학과의 의미 II. 수학과의 의의 III.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IV. 초등수학의 중요성 V. 수학에서 배워야 할 것 VI. 수학 교육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교육부) | 수학과의 성격 I. 수학과의 의미 수학과는 다음 6가지를 배우는(기르는) 교과이다. (1)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 (2) 수학의 기능 습득 (3) 주변의 여러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 // 추론의 '관찰과 추측' 정보처리의 '정보의 해석 및 활용'과 관련 (4) 논리적으로 사고 // 추론의 '논리적 절차 수행'과 관련 (5) 합리적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해결 역량 (6) 태도 수학과는 (1)수학의 개념, .. 2020. 7. 3. 수학 교과 역량 (6) : 태도 및 실천 역량과 하위 요소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2) : 추론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의미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 (2019))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의미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실천하는 능력 태도 및 실천 역량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2)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3)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4) 실천하는 .. 2020. 7.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