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빈칸 뒤에 **표시인 문제는 '한글(漢字)'형태로 작성하셔야 정답 처리됩니다. 학습에 참고 바랍니다.
(1) 한자와 어휘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음/뜻(3가지)을 구별한다.
[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해설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음
-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음
- 개사(介詞)**는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
- 접속사(接續詞)**는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
- 어조사(語助詞)**는 단어나 어구 또는 문장의 앞, 가운데나 뒤에 와서 문법적인 의미나 어기(語氣) 등을 나타내는 단어
- 감탄사(感歎詞)**는 문장의 밖에 독립적으로 놓여 화자(話者)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응답을 나타내는 단어
- 다만 허사의 경우, 같은 품사에 속하는 허사들 간에도 문법적 기능과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각 허사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여 정확하게 문장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 단어는 문장 속에서 쓰임에 따라 품사가 바뀌고 의미가 달라지기도 함; 명사는 동사처럼 쓰여 문장에서 그 자체로 서술어가 되기도 하고, 동사 앞에서 부사처럼 쓰이기도 하며, 동사는 명사처럼 쓰이기도 함; 형용사는 그 뒤에 명사나 대명사 등이 올 때 '∼라고 여기다'는 뜻을 갖기도 하며 명사적으로 쓰이기도 함
[12한문01-05]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12한문01-07]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한다.
해설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
- 성어는 대체로 2∼4자로 이루어진 관용구; 옛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故事成語)**의 경우, 성어가 이루어진 배경이나 속뜻을 학습하면서 등장인물들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살펴볼 수 있음
- 이를 통해 학습자는 삶의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해 생각하며, 자신의 태도와 가치를 성찰할 뿐 아니라 타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음
[12한문01-08]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한자의 모양/음/뜻(3가지)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자전이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데, 한자는 종이 사전 또는 디지털 사전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음; 자원을 교수/학습할 때에는 근거가 분명한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하되, 자원 자체를 암기하기보다 한자를 이해하는가에 중점을 두도록 함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학습하여 한자 어휘의 조어(造語)** 방법을 이해하고,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언어생활과 한문 학습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
• 실사와 허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허사가 활용된 예문을 제시하며 자연스럽게 허사의 특징을 익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 실사와 허사의 용어적 정의에 치우치기보다는 실사와 허사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는가에 중점
•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속 인물들의 문제 해결 방식과 그 결과에 대해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 학습자들이 간접 경험에서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기준과 가치를 정립하여 삶에서 마주하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한자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가 간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문이 고전 문언문으로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음을 아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 간지(干支)**, 성명(姓名)**, 풍속(風俗)**, 의식주(衣食住)** 관련 생활 문화 등의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 문화권에 속한 국가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2) 문장
[12한문02-01]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구별한다.
해설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이해하여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다.
- 문장의 구조를 파악할 때는 먼저 어순을 보고, 그다음에 성분들 사이의 관계를 보는데, 어순이 바뀌면 비문(非文)**이 되거나 문장의 성분이 바뀔 수 있기 때문
- 다만, 특정한 환경에서 어순이 도치되어도 문장의 성분이 바뀌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술목 구조의 기본 어순은 서술어가 앞에 오고 목적어가 뒤에 오지만, 특정한 조건에서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오기도 함
- 예를 들어,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構文)**에서 의문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또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에서 지시 대명사나 인칭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는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옴
- 문장의 유형은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에 대한 판단으로,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
[12한문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해설글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글의 내용과 주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장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구체적인 의미, 글의 구조와 분위기 등 글의 내용을 그 주제와 관련지어 파악해야 함
-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내용만을 담고 있는 글의 경우에는 겉으로 드러난 명시적인 내용이 바로 그 주제가 된다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한문 문장은 의미심장한 교훈이나 철리(哲理)**를 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글 속에 담긴 의미를 새겨보는 과정이 필요
[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해설한시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한시의 특징이란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 대우(對偶)**, 시상 전개 방식 등을 의미
- 이러한 한시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하면 함축과 상징의 시어로 구성된 한시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음
- 한시를 감상할 때는 한시의 표면적 뜻뿐만 아니라 시어 속에 숨겨진 의미, 창작 배경, 문학적 영향 관계, 심미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시를 감상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음
[12한문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12한문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기른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문장의 구조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이루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분석해야 하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화자(話者)**의 의도와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문장의 구조와 유형에 대한 이해는 문장 독해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지나치게 문법적인 내용에 치중하지 않도록 함
•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읽기 위해서는, 읽고 있는 글의 내용을 떠올리고 음미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
• 글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른 풀이가 선행되어야 함
- 문장에 사용된 허사의 쓰임, 품사의 활용을 바탕으로 단어의 뜻, 어구나 문장의 의미, 글의 구조나 전개 방식,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어야 함
- 글의 주제가 표면에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는 경우에는 문장을 풀이하고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주제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글의 주제가 글의 표면에 드러나 있지 않거나 숨겨져 있는 경우에는 글의 이면에 함축되어있는 주제를 추측하여 파악해야 함
- 이때, 글의 제목, 핵심어, 지은이의 의도, 시간적/공간적 배경 등으로 요소를 추출해나가면서 주제를 찾고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
•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한시 속에 간결한 어휘로 된 함축적인 표현이 많다는 것에 유의해야 함
- 한시는 직역하기 곤란하거나 직역만으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한시를 풀이할 때에는 우선 직역의 단계를 충실하게 거친 후, 한시 속에 함축된 뜻이 시적으로 유려하게 드러나도록 의역하는 단계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좋음
- 또한, 학습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감상하도록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되 교사와 학습자가 쌍방향으로 소통하면서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기만의 감상을 끌어낼 수 있도록 지도
•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선인들의 인간관, 학문관, 자연관, 역사관 등의 다면적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이 담긴 글 속에서 현재적 가치를 찾아 자기 삶에 적용하여, 자신을 성찰하며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함
• 한문 기록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전통문화의 심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둠; 전통문화가 갖는 현재적 의미, 계승/발전 방안 등의 주제에 대한 토의/토론 및 개인 탐구 활동을 통하여 자신만의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중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임용 대비 2022개정 중학교 체육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0) | 2025.02.08 |
---|---|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한문 중등임용 대비 (1) | 2025.01.31 |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내용 체계 빈칸연습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0) | 2025.01.29 |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중등한문임용 대비) (0) | 2025.01.26 |
2022개정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0) | 2025.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