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대비) 국어 성취기준 빈칸 - 5~6학년군 / 2022개정 (1) 듣기/말하기[6국01-01] 대화에서 생략된 내용을 추론하며 듣는다.[6국01-02] 주장을 파악하고 이유나 근거가 타당한지 평가하며 듣는다.[6국01-03] 주제와 관련하여 궁금한 내용을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듣고 말한다.해설교과 학습 상황을 비롯한 다양한 상황에서 주제와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구어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①들은 내용을 확인하거나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한 질문, ②생략된 내용을 추론하기 위한 질문, ③상대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 ④다른 사람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연결하기 위한 질문, ⑤자료에서 제시되지 않은 대안이나 더 많은 정보를 찾기 위한 질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질문 생성하기, 분명한 표현으로 질문하기, 예절을 지켜 질문하기 등을 학.. 2025. 1. 28.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온라인암기장 - 초등임용/중등임용 대비 나. 평가(1) 평가의 방향(가) '국어'의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평가 요소에 학습자가 도달한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방법을 선정; 이때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지엽적인 지식이나 분절적인 기능을 평가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실제적인 국어 활동 상황에서 지식과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를 계획하고 운용 (나)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사를 고려하여 평가의 난도, 과제 내용 등을 계획하고, 학습자가 평가에 참여하는 동안 흥미와 동기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교사 주도의 평가 외에도 자기 평가나 동료 평가 등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 상태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평가를 계획하고 운용 (다) '.. 2025. 1. 4.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교수/학습 파트 빈칸연습 (초등, 중등 공통)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참고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교수/학습 항목에 대한 온라인암기장을 기재하였습니다.(가) '국어'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국어과 역량인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디지털/미디어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의 실생활과 가까운 학습 맥락을 제공하여 흥미와 동기를 높이며, 학습자가 상호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 (나)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 수준, 관심과 흥미, 적성과 진로, 언어와 문화 배경 등 개인차를 고려하고, 학습자가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자신의 학습 방법이나 학습 소재 등을 주도적으.. 2024. 12. 29.
2022개정 중학교 국어 성취기준 빈칸 - #5 문학 참고 이 온라인암기장은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ncic 교육과정 정보센터(ncic.re.kr)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5) 문학[9국05-01]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한다.[9국05-02]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을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한다.[9국05-03] 인간의 성장을 다룬 작품을 읽으며 문학의 가치를 내면화한다.[9국05-04] 보는 이나 말하는 이의 특성과 효과를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한다.해설시의 화자 또는 소설의 시점 및 서술자에 주목하여 작품을 깊이 있게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게 하기 위해 설정; 문학 작품에서 누가 보는가, 누가 말하는가에 따라 전달하는 내용이나 작품의 분위기가 크게 달라짐; 보는 이나 .. 2024. 12. 26.
2022개정 중학교 국어 성취기준 - #4 문법 온라인암기장 (4) 문법[9국04-01] 국어의 음운 체계와 문자 체계를 이해하고 국어생활에 활용한다.해설국어의 음운 체계와 문자 체계를 종합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말소리와 문자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  - 말소리와 음운의 관계, 음운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발음 및 표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함  - 이와 관련지어 훈민정음 창제 정신과 원리를 중심으로 국어의 문자 체계를 탐구하고, 디지털/정보화 시대에 한글이 지니는 가치 및 발전 방향을 다각도로 탐색 [9국04-02] 단어의 짜임을 분석하여 새말 형성의 원리를 이해한다.[9국04-03]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국어 자료를 분석한다.[9국04-04] 문장의 짜임을 이해하고 표현 효과를 고려하여 문장을 구성한다.해설품사의 종류.. 2024. 12. 25.
2022개정 중학교 국어 성취기준 빈칸 - #3 쓰기 참고 이 글은 ncic 국가 교육과정 정보센터에서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자료를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3) 쓰기[9국03-01] 대상의 특성에 적합한 설명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쓴다.해설대상의 특성에 적합한 설명 방법을 활용하여 독자가 이해하기 쉬운 글을 쓰는 데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① 대상과 관련한 독자의 배경지식 및 관심 고려하기② 정의, 인과, 분석, 분류 등 다양한 설명 방법을 익히고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명 방법 활용하기③ 대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글의 구조 및 표현 방법 이해하기 등을 학습 [9국03-02] 복수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글을 쓴다.해설둘 이상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보고서나 설명문을 쓰.. 2024.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