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중등임용 가정과 파트 온라인암기장 업로드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4/29 - 국어 과목 집중 오답노트 1. [2국04-02] (소리와 표기가) 다를 수 있음을 알고 낱말을 바르게 읽고 쓴다. - 이 성취기준은 (소리와 표기가) 일치하는 낱말과 그렇지 않은 낱말이 있음을 알고 (소리와 표기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며 낱말을 바르게 쓰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 관련 내용요소 : 낱소표(낱말의 소리와 표기) - 관련 핵심개념 : 국어규범과 국어생활(발음과 표기, 어휘 사용, 문장/담화의 사용) 2. 내용체계표 > 쓰기 영역 쓰기의 구성요소/과정/전략의 1-2학년군 학습요소? 글자 쓰기, 문장 쓰기 3. 3-4학년군 문학 밑평 : 독후 활동으로서 생각과 느낌을 평가할 때에는 작품에 대한 (수렴적인 이해)보다는 (발산적인 감상)능력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4. 내용체계표 > 문학 영역 문학의 태도 3-.. 2021. 4. 29. 국어과 교수학습모형 1. 직접 교수모형 (1) 설명하기 - 동기유발 / 학습문제 제시 / 학습문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 안내 - 학습의 방법 또는 절차 안내 (2) 시범 보이기 - 적용 사례 또는 예시 제시 - 방법 또는 절차 시범 (3) 질문하기 - 세부 단계별 질문하기 - 학습 내용 및 방법 재확인 (4) 활동하기 - 적용, 반복 연습 - 명시적으로 설명과 시범을 할 수 있어야 함 - 기본 학습 차시에 활용 가능 - 문법, 문학 개념/원리 학습에 유용 -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생 대상으로 가능 - 시범을 보일 때에는 (생각 구술법)을 적용할 수 있음 - (책임 이양의 원리)가 적용됨 2. 문제 해결 학습 모형 (1) 문제 확인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2) 문제 해결 방법 찾기 - 문제 해결 방법 탐색 - 문제.. 2021. 4. 12. 국어과 교수학습의 원리 1. 개별성의 원리 2. 상호작용성의 원리 3. 상황관련성의 원리 4. 문화관련성의 원리 5. 총체성의 원리 (통합형 교수학습과 관련) 2021. 4.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