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과 평가방법] 초등임용 대비 읽기,쓰기,듣기 말하기 평가 방법 참고 우측 하단의 [빈칸 뚫기] 버튼으로 빈칸을 뚫어 암기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평가 방법 중 회색으로 나타낸 부분은 영역 공통으로 제시된 평가방법입니다. 업데이트 [빈칸 뚫기]버튼을 추가하였습니다. 빈칸 뚫기 듣기/말하기 영역 평가 방법 총체적 평가 분석적 평가 일화 기록법 녹화 기록법 관찰법 자기 평가 동료 평가 포트폴리오법 총체적 평가 학생의 발표의 전체적인 인상 평가 분석적 평가 하위 요소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평가 일화 기록법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학습자의 대화를 관찰, 의미있는 발화/태도를 기록 녹화 기록법 녹음기나 녹화 장치 등을 이용해 기록한 내용을 분석 관찰법 교사가 학생의 발표나 대화를 관찰한 후 평가 자기 평가 학습자가 자신의 듣기/말하기 수행을 평가 동료 평가 동료 학습자가 학습자의.. 2023. 11. 28.
2022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1 - 1~2학년군 참고 국어과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은 생략된 내용이 있으므로 원문과 함께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1) 듣기/말하기 [2국01-01] 중요한 내용이나 일이 일어난 순서를 고려하며 듣고 말한다. [2국01-02] 바르고 고운 말로 서로의 감정을 나누며 듣고 말한다. 해설 설정 이유: 대화를 나눌 때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함으로써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발전시키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해설 학습 내용 ① 기쁨, 슬픔, 사랑, 미움 등 다양한 감정과 관련된 표현 알기 ②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하기 ③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기 [2국01-03] 상대의 말을 집중하여 듣고 말차례를 지키며 대화한다. 해설 설정 이유: 이 성취기준은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 교섭성을 인식하는.. 2023. 10. 22.
[국어 내체표]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해설 이 자료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학습을 돕고자 만들었습니다. 임용고시 준비하시는 선생님들에게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료는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를 이용하였습니다.참고 다음 목차를 이용하시면 해당 영역으로 이동합니다.1. 듣기/말하기2. 읽기3. 쓰기4. 문법5. 문학6. 매체 1. 듣기/말하기 핵심 아이디어⋅ 듣기/말하기는 언어, 준언어, 비언어, 매체 등을 활용하여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주고받는 행위이다. ⋅ 화자와 청자는 상황 맥락 및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담화를 듣고 말한다. ⋅ 화자와 청자는 의사소통 과정에 협력적으로 참여하고 듣기/말하기 과정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여 듣고 말한다. ⋅.. 2023. 10. 6.
공감적 듣기 방법: 소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공감적 듣기 방법 1. 공감적 듣기: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며 듣는 것을 말함 참고 관련 2015 국어과 교육과정 기능: 경청/공감하기 2. 공감적 듣기 방법 //소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청킹 집격요반: 집을 격하게 요구하는 반장 가. 소극적 듣기 (= 소극적 들어주기 방법) 1) 집중하기: 대화 상대에게 적절한 표정/몸짓을 하고 눈을 맞추어 집중하는 것 예) (자연스럽게 눈을 맞춘다.) 2) 격려하기: 대화 상대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도록 반응하며 배려하는 것 2007중등 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해 봐. 나. 적극적 듣기 (= 적극적 들어주기 방법) 2021중등 1) 요약하기: 상대의 말을 객관적으로 요약해주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참고 적극적 듣기를 하면 대화 상대가 객관화.. 2023. 9. 5.
[낱말의 확장 방법] 합성어, 파생어 / 파생 접미사, 명사형 어미 비교 1. 낱말의 종류 가. 단일어: 쪼갤 수 없는 낱말 예) 구름, 다리 나. 복합어: 쪼갤 수 있는 낱말 //낱말의 확장 방법: 합성, 파생 1) 합성어: 어근(의미가 있고 홀로 쓰일 수 있음)+어근 예) 꽃밭 = 꽃 + 밭 예) 손발 = 손 + 발 2) 파생어: 어근과 접사(홀로 쓰일 수 없음) 결합 2017초등 //접두사+어근, 어근+접미사 가능 예) 높이(height) = 높(어근) + 이(접사) 예) 나무꾼 = 나무(어근) + 꾼(접사) 예) 풋사과 = 풋(접사) + 사과(어근) 참고 ㄹ탈락: 복합어 중 종성이 ㄹ이고 다음 어근(또는 접사)의 초성이 ㄴ,ㄷ,ㅈ,ㅅ일 때 ㄹ이 탈락하는 현상 예) 소나무: 솔+나무 예) 화살: 활+살 2. 낱말의 확장 방법 지도 시 유의사항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23. 8. 24.
[초등임용 국어] 고쳐 쓰기 방법, 쓰기 상황 맥락 고쳐쓰기 서브노트 1. 인지주의 작문이론 관점에서 고쳐쓰기 가. 회귀성이 높은 필자일수록 점검/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함; 회귀성이 높을수록 고쳐쓰기에 적극적 2021중등 나. 능숙한 필자는 고쳐쓰기 단계에 시간 투자 多; 초고쓰기 단계에서는 형식적 완결성이 느슨하고, 고쳐쓰기 단계에서 형식적 완결성을 보완함 2011중등 참고대신 능숙한 필자는 초고를 쓸 때 주제에 벗어난 내용이 적게 작성함; 주제와 통일성을 이루어야 함 다. 상위 인지를 강조하여 프로토콜 분석과 잘 어울림 2. 고쳐쓰기 수준: 글 → 문단 → 문장 및 낱말 수준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 2021초등 3. 고쳐쓰기 방법★: 첨가, 삭제, 대체, 이동, 재배열 //첨삭대이재 가. 첨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ø → a) 나. 삭제: 특정한.. 2023.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