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가.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1) 편제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으로 편성한다.
나) 교과(군)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로 한다. 다만,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자치 활동, 동아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라) 일상생활 활동은 의사소통, 자립생활, 신체활동, 여가활동, 생활적응 등 생활 기술을 중심으로 편성/운영한다.
2) 시간 배당 기준
[표 생략]
①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학교 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② 학년군의 교과(군)별,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학년군별 총 수업 시간 수는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실과의 수업 시간은 5~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 시수에만 포함된다.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 학교는 학생이 학년(군)별로 이수해야 할 교과를 학년별, 학기별로 편성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안내한다.
2)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학생이 기본 생활 습관, 기초 학습 능력,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3) 학교는 해당 학년군 교육과정을 적용하되, 필요한 경우 타 학년군의 교과 내용으로 대체하여 운영할 수 있다.
4)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 간 5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는 기준 수업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운영할 수 없다.
5) 학교는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학년별, 학기별로 교과 집중이수를 실시할 수 있다.
6)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을 학생들의 발달 수준, 학교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학년(군)별로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한다.
7) 학년을 달리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복식 학급을 편성/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육 내용의 학년별 순서를 조정하거나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8) 학교는 입학 초기 및 상급 학교(학년)로 진학하기 전 학기의 일부 시간을 활용하여 학교급 간 연계 및 진로 교육을 강화하는 진로연계교육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9) 학교는 필요한 경우 학생의 장애 특성 및 교육적 요구에 따른 교육 내용을 창의적 체험활동과 일상생활 활동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10) 학교는 1학년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 교육을 위해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의 시간을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입학 초기 적응 프로그램 등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11) 학교는 1~2학년 학생에게 실내/외 놀이 및 신체 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한다.
12) 정보통신 활용 교육, 보건 교육 등은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특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임용] 고등학교 - 편제와 학점 배당기준, 교육과정 편성운영기준 온라인암기장 빈칸연습 (1) | 2025.05.19 |
---|---|
[중특 특수 총론] 기본 교육과정 편성/운영 - 중학교 (2) | 2025.05.18 |
(특수임용 총론 온라인암기장) 고등학교 편제와 시간 배당기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 2022개정 교육과정 (2) | 2025.05.13 |
(특수임용 총론) 중학교 편제와 시간 배당기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온라인암기장 (4) | 2025.04.27 |
초특 2022개정 총론 온라인암기장 - 공통 교육과정 편성/운영 > 초등학교 (1) | 2025.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