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중등임용 가정과 파트 온라인암기장 업로드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2022개정 체육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중등체육임용 대비) 가. 성격체육과는 신체활동의 학습을 통해 활동적이고 창의적인 삶, 건강하고 주도적인 삶, 신체활동 문화를 향유하며 사회 속에서 바람직하고 더불어 사는 삶의 자질을 길러주는 교과 - 신체활동은 놀이, 게임, 운동, 스포츠, 표현 등의 맥락에서 계획적, 의도적으로 수행되는 움직임으로, 신체 능력과 건강을 증진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을 바탕으로 타인 및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삶의 양식 인간은 움직임 기술을 바탕으로 운동, 스포츠, 표현 활동을 실천하며 일상생활과 여가활동에서 활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음 - 운동 실천과 전략적 경기 수행, 심미적 표현과 같은 신체활동 체험을 통해 인간은 주변 세계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대응 - 신체활동은 건강하고 주도적인 삶.. 2025. 2. 1.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가) '한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깊이 있는 학습으로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과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 - '한문'의 교수/학습은 의사소통,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감성 및 인성을 함양하는 데 중점 - '한문' 학습 내용이 실생활에 쉽게 전이되어 학습자가 지식을 실제로 적용/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함 - 한자와 어휘 익히기, 언어생활 활용, 한문 독해, 인성 함양, 전통문화의 계승/발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 태도 기르기 등을 성취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을 운용 (나)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 2025. 1. 31.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참고빈칸 뒤에 **표시인 문제는 '한글(漢字)'형태로 작성하셔야 정답 처리됩니다. 학습에 참고 바랍니다. (1) 한자와 어휘[12한문01-01] 한자의 모양/음/뜻(3가지)을 구별한다.[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해설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음 -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음 - 개사(介詞.. 2025. 1. 30.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내용 체계 빈칸연습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1) 한자와 어휘핵심 아이디어 한자는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 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 성어는 비유적/함축적 뜻을 지니며, 삶의 태도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범주학년군 - 중학교지식/이해 한자의 모양/음/뜻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단어의 짜임 실사와 허사 단어와 성어의 음과 뜻 한자 문화권의 문화 과정/기능 한자의 모양/음/뜻 파악하기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단어의 짜임 파악하기 실사와 허사 파악하기 단어와 성어 읽고 풀이하기 성어의 뜻과 유래 조사하기 단어와 성어 활용하기 가치/태도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 성어 속 삶의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는 태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 (2) 문장.. 2025. 1. 29.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중등한문임용 대비) 참고 고등학교 '한문' 과목의 성격 및 목표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가. 성격 한문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언어생활과 한문 독해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또한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자아 정체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아울러 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교류 증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중학교 한문 성격 항과 동일 고등학교 '한문'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를 중심으로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에 초점을 둔 과목 그러므로 한자, 어휘, 문장에 대한 통합적 이해.. 2025. 1. 26. 2022개정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가) '한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깊이 있는 학습으로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과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 - '한문'의 교수/학습은 의사소통,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감성 및 인성을 함양하는 데 중점 - '한문' 학습 내용이 실생활에 쉽게 전이되어 학습자가 지식을 실제로 적용/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함 - '한자', '어휘', '문장'을 대상, 목적, 맥락에 맞게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의 구성원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언어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운용 (나)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2025. 1. 25. 이전 1 2 3 4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