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과 매체 성격 및 목표 (중등 미술임용 대비, 2022개정) 가. 성격‘미술과 매체’는 매체를 이해하고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융합 선택 과목이다.‘미술’과 ‘매체’에서 미술은 매체를 통하여 표현이 되고 매체 자체가 미술이 되기도 한다. ‘미술과 매체’에서 매체는 직접 손으로 그리고 만드는 물성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아날로그 매체와 기술의 발달로 탈물질화된 표현 형식을 제공하는 디지털 매체로 나뉜다. ‘미술과 매체’는 과거에서 현대까지의 매체를 탐색하고 역할을 이해함으로써 매체의 다양성과 융합 가능성을 발견하게 한다. 매체의 특성과 표현 원리, 매체를 활용한 미술 작품을 다룸으로써 미술에서의 매체의 변화를 이해하게 한다. 매체를 활용하여 표현을 정교화하고 미술과 다른 분야를 융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한다. 또한 매체에 메시지를 담아 표현한 .. 2025. 4. 2.
[미술임용/2022개정] 미술 감상과 비평 - 교수 학습 및 평가 빈칸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가) 감상과 비평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영함 (나) 광고, 패션, 잡지 등 학습자의 생활 속에서 만나는 작품들을 수업에 활용하여 친근하게 작품을 접하는 기회를 마련함 (다) 서로 다른 가치관을 보여주는 작가들의 작품 비교 감상, 토론, 사례 조사, 발표, 감상문 쓰기, 역할극을 통해 미술사적 쟁점을 다룬다. (라) 지역의 미술관이나 전시장을 활용하여 미술 감상과 향유가 생활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들의 삶과 연결하여 학습 내용을 구성하며 공공장소에서의 안전 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함 (마) 온라인 미술 감상과 전시 활동을 가상공간으로 확장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첨단 교수/학습 환경을 구축하여 감상 교육에 활.. 2025. 3. 31.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빈칸 - 초등학교 5~6학년군 1. 미적 체험[6미01-01] 다양한 감각과 매체를 활용하여 자신과 대상을 탐색할 수 있다.[6미01-02] 자신이나 주변 환경에서 찾은 감각적 특징, 느낌, 생각 등을 관련지어 나타낼 수 있다.해설자신이나 대상, 그리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상 등 주변 환경을 탐색하며 예민하게 찾은 감각적 특징과 체험 과정에서 떠오른 느낌과 생각을 관련지어 보는 경험에 중점; 미술의 특성상 시각적 특징을 우선 다루게 되지만, 보이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특징이나 느낌과 상상이 반영된 색, 형, 이미지, 문구, 소리, 움직임 등을 자유롭게 활용함; 이를 통해 감각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자신과 환경 사이의 관계를 이해[6미01-03] 주변 환경에 대한 민감한 태도로 대상과 상호 작용하며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2024. 11. 25.
한국 전통 도자기 기법, 도자기 이름 붙이는 순서 1. 한국의 전통도자기 기법가. 상감: 그릇의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백토를 채워넣는 기법나. 귀얄: 백토를 바른 붓으로 그릇에 칠해 무늬를 만드는 기법다. 덤벙: 백토를 탄 물에 그릇을 담갔다 꺼내는 기법라. 철화: 백토 분장 위에 철분이 들어간 안료로 그림을 그려넣는 기법 참고 청화: 흰색 도자기에 파란색 안료로 무늬를 꾸미는 방법; 백자에 사용한 기법마. 박지: 백토로 덮은 뒤 문양을 그리고 그 외 부분을 긁어내는 기법바. 인화: 도장을 표면에 찍고 백토를 메우는 기법사. 조화: 원하는 무늬를 긁어 새기는 기법 //박지 기법과 조화 기법의 차이 숙지하기 참고그외 무늬가 튀어나오도록 새기면 양각, 무늬가 들어가도록 새기면 음각, 구멍을 뚫어 무늬만 남기면 투각이라고 부릅니다. 2. 도자기에 이름 붙이는.. 2024. 10. 22.
2022개정 고등학교 미술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 중등미술임용 대비 (1) 미적 체험[12미01-01] 자신과 세계를 지각하고 미적으로 인식하며, 대상과 현상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다.해설자신과 세계를 감각으로 탐색하여 민감하게 지각하는 과정 → 대상과 현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인식하고 미적 가치를 발견하기 위하여 설정; 미적 가치의 발견과 분석은 세계를 이해하는 미적 안목을 바탕으로 개인의 관심사에서 출발하여 자신이 속한 공동체, 나아가 가상공간으로 범위를 확대[12미01-02] 시각 문화의 다양성과 의미 전달 방식을 이해하여 시각 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향유할 수 있다.[12미01-03] 이미지를 활용한 소통 방식을 탐구하여 미술이 삶 속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공감할 수 있다.[12미01-04] 삶과 연결된 미술을 이해하.. 2024. 10. 19.
고등학교 미술 내용체계표 빈칸 (2022개정, 미술임용대비) (1) 미적 체험핵심 아이디어미적 체험은 대상과 현상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게 하고 새로운 지각으로 확장된다.이미지의 관찰과 탐색은 미적 안목을 형성하고 자신과 사회, 환경과의 소통으로 이어진다.범주학년군 - 중학교지식/이해자신과 세계에 대한 미적 관점시각 문화의 다양성과 의미 전달 방식삶과 연결된 미술과정/기능대상과 현상의 미적 가치 분석하기이미지를 활용한 소통방식 탐구하기미술을 공동체와 생태환경으로 확장하기가치/태도시각 문화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향유삶 속 미술의 의미에 대한 공감 (2) 표현핵심 아이디어표현은 창의적 사고와 순환적인 성찰의 과정을 포함한다.작품 제작은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으로 예술적 성취 경험을 수반한다.범주학년군 - 중학교지식/이해발상과 표현 주제 심화적용과 융합을 위한 표현 방법.. 2024.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