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2022 미술 교육과정] 미술과 성격 및 목표 파트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가. 성격* 미술은 느낌과 생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소통하며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창조하는 인류 보편의 언어* 미술은 조형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 -> 1)자신의 내면을 통찰하고 2)상상력과 창의성을 발현시켜 3)개인과 공동체의 삶을 풍요롭게 함* 시대의 특징과 문화를 기록하고 반영하는 미술 -> 과거부터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을 가로질러 사유하게 함으로써 1)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와 2)새로운 미술 문화 창출을 이끌고 3)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공헌* 학교 교육에서 미술 교과는 미술의 의미와 가치에 기초하여 1)심미적 감성을 함양하고 2)창의/융합적으로 사고하는 힘과 3)시각적으로 소통하는 능력을 길러주며 4)정체성과 5)공동체성을 확.. 2024. 2. 21. 판화 종류, 판화 특징 정리 참고 이 글은 초등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선생님을 대상으로 작성한 서브 노트입니다. 1. 판화의 종류 // 각 판화의 특징과 종류 파악하기! 가. 볼록 판화: 고무판화, 목판화, 지판화, 직판화, 리놀륨판화 1) 볼록 판화는 파내지 않은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발라 찍는 판화 2) 판과 찍힌 면의 좌우가 바뀜 3) 도장에 활용됨(옛날에는 낙관에 활용) - 음각: 백문인(흰 글씨가 나오므로); 성명인으로 사용 - 양각: 주문인(붉은 글씨가 나오므로); 자호인으로 사용 - 양음각: 주백문상간인(음각과 양각이 같이 있어 붉은 글씨와 흰 글씨가 모두 있음) 참고 목판화와 리놀륨판의 차이점: 목판은 나뭇결 때문에 주어진 방향으로 파야 하지만, 리놀륨판은 결이 없어 자유롭게 판을 팔 수 있음 참고 목판화 종류: 우드.. 2023. 8. 5. [교육과정] 미술 뒷교 청킹 원문 출처 : 국가 교육과정 정보 센터 (ncic.re.kr) 가. 교수학습방향 교과역량 미시창미자 반교학계 미술 교과 역량인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학체중활이 생타교타분 연융 교학계실 학습자 체험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활 또는 타 교과나 타 분야 등과 연계/융합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학학여수환 등고 학내양수적 학습자, 학교의 여건, 수업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한다. 학목 교내체성기학성수 종고설 학습 목표는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학습자의 성취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한다. 학내 체표감 각영특살 학목적설 영유관연고.. 2021. 5. 31. 5/6 - 미술 집중 오답노트 1. 구체적으로 특정한 장소나 전시 공간을 고려하여 제작된 작품과 공간이 하나의 총체적인 환경을 이루는 미술양식은? 설치미술 2. 시각 전달 디자인 중 자료 또는 지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은? 인포그래픽 3. 민화의 목적은 (장식)과 (주술)이다. 4. 서예 중 획의 가장자리 한편으로 붓끝이 움직이는 것은? 편봉 5. 빨강, 주황, 노랑 등은 따뜻한 느낌을 주며 (자극)적이고 흥분을 느끼게 한다. 파랑, 남색 등은 차가운 느낌을 주고 침착하고 어두우면서 (안정감)을 준다. 6. 줌인으로 촬영한 사진은? 클로즈업샷 7. 세잔의 다시점 정물화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A)를 형성한다. (A)에 들어갈 조형 요소는? 공간감 8. 3~4학년군 감상 영역의 평가 요소 1) 관심있는 미술작품과 미술간에 대한 (조사.. 2021. 5. 7. [교육과정] 바생 뒷교 청킹 교수학습방향 영통통 주중학효높 바른생활과는 영역(대주제)를 중심으로 슬기로운생활과와 즐거운생활과를 통합하거나 국어과, 수학과와도 통합하여 주제 중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다. 바공자의향 공규자자상조 교초두지 바른생활의 교과역량인 공동체역량,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공감 및 배려, 규범과 규칙 준수, 자기생활관리, 자기학습관리, 상황파악능력, 조사 및 발표능력에 교수학습활동의 초점을 두어 지도한다. 바기교기 되스내관습 바목성 학계 바른생활과의 기본 교과 기능인 되돌아보기, 스스로하기, 내면화하기, 관계 맺기, 습관화하기 등을 통해 '바른 생활'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계획한다. 5누 사관신건 도기방 5세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신체운동건강 등의 내용 영역과 연계하여 지.. 2021. 4.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