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8 * 추구집-36初月將軍弓초월장군궁초생 달은 장군의 활이고流星壯士矢유성장사시유성은 장사의 화살이다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땅을 쓰니 황금이 나오고開門萬福來개문만복래문을 여니 만복이 온다  * 추구집-37鳥逐花間蝶조축화간접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鷄爭草中蟲계쟁초중충닭은 풀 속의 벌레를 다툰다鳥喧蛇登樹조훤사등수새가 지저귀니 뱀이 나무에 오르고犬吠客到門견폐객도문개가 짖어대니 나그네가 문에 이르렀나 보다.참고 喧:지껄일 훤; '떠들다', '지저귀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참고 吠:짖을 폐  * 추구집-38高峯撐天立고봉탱천립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버티고 서 있고長江割地去장강할지거긴 강은 땅을 가르며 흘러간다碧海黃龍宅벽해황룡택푸른 바다는 황룡의 집이고靑松白鶴樓청송백학루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이다  * 추구집-39月到梧桐上.. 2024. 7. 29.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7 [썸네일]* 추구집-31白鷺千點雪백로천점설백로는 천 점의 눈이고黃鶯一片金황앵일편금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 금이다桃李千機錦도리천기금복숭아꽃과 오얏꽃은 천 베틀의 비단이고江山一畵屛강산일화병강산은 한 폭의 그림 병풍이다  * 추구집-32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새는 못 가 나무에서 자고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린다棹穿波底月도천파저월노는 파도 밑 달을 뚫고船壓水中天선압수중천배는 물 속의 하늘을 누른다참고 棹: 노 도  * 추구집-33高山白雲起고산백운기높은 산에는 흰 구름이 일고平原芳草綠평원방초록넓은 언덕에는 고운 풀이 푸르다水連天共碧수연천공벽물은 하늘과 이어져 함께 푸르고風與月雙淸풍여월쌍청바람은 달과 함께 모두 맑다참고 與: ~와 함께  * 추구집-34山影推不出산영추불출산 그림자는 밀어내도 나가지 않.. 2024. 7. 27.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6 * 추구집-26花落以前春화락이전춘꽃이 떨어지기 전이 봄이고山深然後寺산심연후사산이 깊어진 뒤에 절이 있다山外山不盡산외산불진산 밖에 산이 있어 다하지 아니하고路中路無窮노중로무궁길 가운데 길이 있어 끝이 없다참고 山外山不盡과 같은 의미의 사자성어: 첩첩산중(疊疊山中)  * 추구집-27日暮蒼山遠일모창산원해가 저무니 푸른 산이 멀어보이고天寒白屋貧천한백옥빈날씨가 차니 초가집이 쓸쓸하다小園鶯歌歇가원앵가헐작은 동산(=소원궁)엔 꾀꼬리 노래가 쉬고長門蝶舞多장문접무다커다란 문(=장문궁)엔 나비들 춤이 많다참고 歇: 쉴 헐  * 추구집-28風窓燈易滅풍창등이멸바람 부는 창문엔 등불이 꺼지기 쉽고月屋夢難成월옥몽난성달빛 드는 집에는 꿈 이루기 어렵다日暮鷄登塒일모계등시해가 저무니 닭은 닭장에 들고天寒鳥入簷천한조입첨날씨가 차가우니 .. 2024. 7. 26.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3 * 추구집-11夫婦二姓合부부이성합부부는 두 성이 합하였고兄弟一氣連형제일기연형제는 한 기운이 이어졌다父慈子當孝부자자당효부모는 사랑하고 자식은 마땅히 효도해야하며兄友弟亦恭형우제역공형은 우애하고 아우 또한 공손해야 하느니라   * 추구집-12父母千年壽부모천년수부모는 천년의 장수를 누리시기를 기원하고子孫萬世榮자손만세영자손은 만 대의 영화를 누리기를 바란다愛君希道泰애군희도태임금을 사랑하여 도가 태평할 것을 바라고憂國願年豊우국원년풍나라를 걱정하여 해마다 풍년들길 원한다   * 추구집-13妻賢夫禍少처현부화소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화가 적고子孝父心寬자효부심관자식이 효도하면 부모의 마음은 너그러우니라子孝雙親樂자효쌍친락자식이 효도하면 두 어버이가 기뻐하시고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참고 親은 .. 2024. 7. 20.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2. 팔반가팔수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幼兒 或詈我하면 我心에 覺歡喜하고 父母 嗔怒我하면 我心에 反不甘이라 一喜懽一不甘하니 待兒待父心何懸고 勸君今日逢親怒어든 也應將親作兒看이니라 해석  어린아이가 혹 나를 꾸짖으면 나는 마음에 기쁨을 깨닫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나를 꾸짖고 성내면 나의 마음에 도리어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하나는 기쁘고 하나는 좋지 않으니 아이를 대하는 마음과 어버이를 대하는 마음이 어찌 현격한가. 그대에게 권고하니 지금 어버이에게 꾸지람을 듣는다면 반드시 자기의 어린 자식에게 꾸지람을 들음과 같이 하라.  兒曹는 出千言하되 君聽常不厭하고 父母는 一開口하면 便道多.. 2024. 6. 27.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0. 부행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益智書에 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요 二曰婦容이요 三曰婦言이요 四曰婦工也니라 해석  익지서에 이르길, 여자는 네 가지 덕의 기리는 것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을 말하고, 세째는 부언을 말하며, 네째는 부공을 말한다고 하였다.    婦德者는 不必才名絶異요 婦容者는 不必顔色美麗요 婦言者는 不必辯口利詞요 婦工者는 不必技巧過人也니라 해석  부덕이라는 것은 반드시 재주와 이름이 뛰어남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부용이라는 것은 반드시 얼굴이 아름답고 고움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부언이라는 것은 반드시 말솜씨가 좋고 말 잘하.. 202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