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추구집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7

by 온암 2024. 7. 27.

[썸네일]

* 추구집-31

白鷺千點雪 백로천점설
백로는 천 점의 눈이고
黃鶯一片金 황앵일편금
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 금이다
桃李千機錦 도리천기금
복숭아꽃과 오얏꽃은 천 베틀의 비단이고
江山一畵屛 강산일화병
강산은 한 폭의 그림 병풍이다

 

 

* 추구집-32

鳥宿池邊樹 조숙지변수
새는 못 가 나무에서 자고
僧敲月下門 승고월하문
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린다
棹穿波底月 도천파저월
노는 파도 밑 달을 뚫고
船壓水中天 선압수중천
배는 물 속의 하늘을 누른다

참고 棹: 노 도

 

 

* 추구집-33

高山白雲起 고산백운기
높은 산에는 흰 구름이 일고
平原芳草綠 평원방초록
넓은 언덕에는 고운 풀이 푸르다
水連天共碧 수연천공벽
물은 하늘과 이어져 함께 푸르고
風與月雙淸 풍여월쌍청
바람은 달과 함께 모두 맑다

참고 與: ~와 함께

 

 

* 추구집-34

山影推不出 산영추불출
산 그림자는 밀어내도 나가지 않고
月光掃還生 월광소환생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긴다
水鳥浮還沒 수조부환몰
물새는 떴다가 다시 잠기고
山雲斷復連 산운단부연
산 구름은 끊겼다 다시 이어진다

참고 還은 '다시'의 의미로 사용됨

 

 

* 추구집-35

月移山影改 월이사영개
달이 옮겨가니 산 그림자가 바뀌고
日下樓痕消 일하루흔소
해가 저무니 누각의 흔적 사라진다
天長去無執 천장거무집
하늘은 높아서 올라가도 잡을 수 없고
花老蝶不來 화노접불래
꽃이 시드니 나비조차 오지 않는다

 

 

 


연습문제

* 추구집-31연습

白鷺千點雪 백로천점설
백로는 천 점의 눈이고
黃鶯一片金 황앵일편금
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 금이다
桃李千機錦 도리천기금
복숭아꽃과 오얏꽃은 일 천 베틀의 비단이고
江山一畵屛 강산일화병
강산은 한 폭의 그림 병풍이다

 

 

* 추구집-32연습

鳥宿池邊樹 조숙지변수
새는 못 가 나무에서 자고
僧敲月下門 승고월하문
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린다
棹穿波底月 도천파저월
노는 파도 밑 달을 뚫고
船壓水中天 선압수중천
배는 물 속의 하늘을 누른다

 

 

* 추구집-33연습

高山白雲起 고산백운기
높은 산에는 흰 구름 일고
平原芳草綠 평원방초록
넓은 언덕에는 고운 풀이 푸르다
水連天共碧 수연천공벽
물은 하늘과 이어져 함께 푸르고
風與月雙淸 풍여월쌍청
바람은 달과 함께 모두 맑다

 

 

* 추구집-34연습

山影推不出 산영추불출
산 그림자는 밀어내도 나가지 않고
月光掃還生 월광소환생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긴다
水鳥浮還沒 수조부환몰
물새는 떴다가 다시 잠기고
山雲斷復連 산운단부연
산 구름은 끊겼다 다시 이어진다

 

 

* 추구집-35연습

月移山影改 월이사영개
달이 옮겨가니 산 그림자가 바뀌고
日下樓痕消 일하루흔소
해가 저무니 누각의 흔적 사라진다
天長去無執 천장거무집
하늘은 높아서 올라가도 잡을 수 없고
花老蝶不來 화노접불래
꽃이 시드니 나비조차 오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