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가) '한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깊이 있는 학습으로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과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     - '한문'의 교수/학습은 의사소통,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감성 및 인성을 함양하는 데 중점     - '한문' 학습 내용이 실생활에 쉽게 전이되어 학습자가 지식을 실제로 적용/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함     - 한자와 어휘 익히기, 언어생활 활용, 한문 독해, 인성 함양, 전통문화의 계승/발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 태도 기르기 등을 성취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을 운용 (나)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 2025. 1. 31.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참고빈칸 뒤에 **표시인 문제는 '한글(漢字)'형태로 작성하셔야 정답 처리됩니다. 학습에 참고 바랍니다. (1) 한자와 어휘[12한문01-01] 한자의 모양/음/뜻(3가지)을 구별한다.[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해설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음    -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음    - 개사(介詞.. 2025. 1. 30.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내용 체계 빈칸연습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1) 한자와 어휘핵심 아이디어 한자는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 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 성어는 비유적/함축적 뜻을 지니며, 삶의 태도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범주학년군 - 중학교지식/이해 한자의 모양/음/뜻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단어의 짜임 실사와 허사 단어와 성어의 음과 뜻 한자 문화권의 문화 과정/기능 한자의 모양/음/뜻 파악하기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단어의 짜임 파악하기 실사와 허사 파악하기 단어와 성어 읽고 풀이하기 성어의 뜻과 유래 조사하기 단어와 성어 활용하기 가치/태도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 성어 속 삶의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는 태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  (2) 문장.. 2025. 1. 29.
2022개정) 고등학교 한문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중등한문임용 대비) 참고 고등학교 '한문' 과목의 성격 및 목표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가. 성격 한문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언어생활과 한문 독해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또한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자아 정체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아울러 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교류 증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중학교 한문 성격 항과 동일  고등학교 '한문'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를 중심으로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에 초점을 둔 과목 그러므로 한자, 어휘, 문장에 대한 통합적 이해.. 2025. 1. 26.
2022개정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중등한문임용 대비)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가) '한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깊이 있는 학습으로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과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     - '한문'의 교수/학습은 의사소통,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감성 및 인성을 함양하는 데 중점     - '한문' 학습 내용이 실생활에 쉽게 전이되어 학습자가 지식을 실제로 적용/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함     - '한자', '어휘', '문장'을 대상, 목적, 맥락에 맞게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의 구성원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언어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운용 (나)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2025. 1. 25.
한문 임용) 2022개정 중학교 한문 성취기준 빈칸 온라인암기장 참고 한문과 중등임용 특성상 한자어로 제시된 부분을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빈칸채우기 연습을 하시는 경우 [한자]키를 활용하셔서 '한글(漢字)' 형태로 입력하시면 정답으로 처리됩니다.(1) 한자와 어휘[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해설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여 한자의 모양과 음과 뜻을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으로 나눌 수 있음 //육서 중 가차, 전주 제외 [9한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해설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 2025.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