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대비) 국어 성취기준 빈칸 - 5~6학년군 / 2022개정 (1) 듣기/말하기[6국01-01] 대화에서 생략된 내용을 추론하며 듣는다.[6국01-02] 주장을 파악하고 이유나 근거가 타당한지 평가하며 듣는다.[6국01-03] 주제와 관련하여 궁금한 내용을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듣고 말한다.해설교과 학습 상황을 비롯한 다양한 상황에서 주제와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구어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 ①들은 내용을 확인하거나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한 질문, ②생략된 내용을 추론하기 위한 질문, ③상대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 ④다른 사람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연결하기 위한 질문, ⑤자료에서 제시되지 않은 대안이나 더 많은 정보를 찾기 위한 질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질문 생성하기, 분명한 표현으로 질문하기, 예절을 지켜 질문하기 등을 학.. 2025. 1. 28.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 설계의 개요 빈칸연습 (초등임용 중등체육임용 대비) 참고 체육과 중등임용 기출 중 과정/기능이 계열화된 표를 다룬 문제가 있습니다. 체육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도 온라인암기장을 통해 정리해둡시다.  체육과는 활동적이고 창의적인 삶, 건강하고 주도적인 삶, 신체활동 문화를 향유하며 사회 속에서 바람직하고 더불어 사는 삶을 추구체육과가 추구하는 삶은 세 가지 신체활동 역량을 갖춤으로써 실현     - '움직임 수행 역량'은 신체활동 형식에 적합한 움직임의 기능과 방법을 효율적, 심미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운동, 스포츠, 표현 활동 과정에서 움직임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며 발달     - '건강 관리 역량'은 체력 및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능력으로 체육과 내용 영역에서 학습한 신체활동을 일상생.. 2025. 1. 18.
2022 체육 성취기준 빈칸 - 초등학교 5~6학년군 (초등임용 대비) (1) 운동[6체01-01]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의 의미와 요소를 파악하고 다양한 운동 방법을 탐색한다.해설3, 4학년군에서 학습한 기본 운동 방법을 체력 요소별로 구분하여 이해하고 체력 요소별로 다양한 운동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설정; 체력을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체력 요소를 이해하며,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적합한 체력 요소별 운동 방법을 찾도록 함[6체01-02]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을 측정하고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을 시도한다.해설자신의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 수준을 파악하여 체력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방법을 선택하고 실천하기 위해 설정; 자신의 우수한 체력과 부족한 체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특히 부족한 체력을 기르기 위해 체력 수준에 적합한 운.. 2025. 1. 5.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온라인암기장 - 초등임용/중등임용 대비 나. 평가(1) 평가의 방향(가) '국어'의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평가 요소에 학습자가 도달한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방법을 선정; 이때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지엽적인 지식이나 분절적인 기능을 평가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실제적인 국어 활동 상황에서 지식과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를 계획하고 운용 (나)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사를 고려하여 평가의 난도, 과제 내용 등을 계획하고, 학습자가 평가에 참여하는 동안 흥미와 동기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교사 주도의 평가 외에도 자기 평가나 동료 평가 등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 상태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평가를 계획하고 운용 (다) '.. 2025. 1. 4.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교수/학습 파트 빈칸연습 (초등, 중등 공통) 가. 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참고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교수/학습 항목에 대한 온라인암기장을 기재하였습니다.(가) '국어'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국어과 역량인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디지털/미디어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의 실생활과 가까운 학습 맥락을 제공하여 흥미와 동기를 높이며, 학습자가 상호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 (나)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 수준, 관심과 흥미, 적성과 진로, 언어와 문화 배경 등 개인차를 고려하고, 학습자가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자신의 학습 방법이나 학습 소재 등을 주도적으.. 2024. 12. 29.
2022개정 교육과정 - 도덕 내용체계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참고 이 글은 2022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중 '내용 체계'에 대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는 이 글을 참고하세요.참고 2022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들어서면서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이 '자연과의 관계'로 변경되었습니다.(자료 출처: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내용 체계(1) 자신과의 관계가. 핵심 아이디어1) 성실은 도덕적 가치와 덕목을 일관되게 추구하도록 하여 도덕적 삶으로 이끈다.2) 자아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을 기르는 도덕 공부의 기초이다.나. 내용 요소범주내용 요소3~4학년5~6학년지식⋅이해- 나는 왜 소중한 사람인가?- 어떤 사람을 정직한 사람이라고 하는가?- 자신에게 정성을 다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덕적으로 행.. 2024.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