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훈민정음 제자 원리 훈민정음을 구성하는 자음과 모음 글자를 만드는 원리를 제자(制字) 원리라고 합니다. 훈민정음의 글자들이 어떤 근거로 만들어졌는지 하나씩 살펴봅시다. * 훈민정음 자음 제자 원리 우선 초성을 담당하는 자음은 다섯개의 기본자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ㄴ,ㅁ,ㅅ,ㅇ청킹) 감나무사이 기본자 다섯 자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따 만들어졌는데, 이를 상형의 원리라고 합니다. 기본자에 따른 본뜬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ㄴㅁㅅㅇ혀뿌리가 목구멍을 막은 모양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입술 모양치아의 모양목구멍의 모양 다음으로 기본자에 획을 더하면 다른 소릿값을 가지는 자음을 만들 수 있는데, 이를 가획의 원리라고 합니다. 가획이란 더할 가(加)에 그을 획(劃)을 써 획을 더한다는 .. 2024. 11. 15. 한국 전통 도자기 기법, 도자기 이름 붙이는 순서 1. 한국의 전통도자기 기법가. 상감: 그릇의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백토를 채워넣는 기법나. 귀얄: 백토를 바른 붓으로 그릇에 칠해 무늬를 만드는 기법다. 덤벙: 백토를 탄 물에 그릇을 담갔다 꺼내는 기법라. 철화: 백토 분장 위에 철분이 들어간 안료로 그림을 그려넣는 기법 참고 청화: 흰색 도자기에 파란색 안료로 무늬를 꾸미는 방법; 백자에 사용한 기법마. 박지: 백토로 덮은 뒤 문양을 그리고 그 외 부분을 긁어내는 기법바. 인화: 도장을 표면에 찍고 백토를 메우는 기법사. 조화: 원하는 무늬를 긁어 새기는 기법 //박지 기법과 조화 기법의 차이 숙지하기 참고그외 무늬가 튀어나오도록 새기면 양각, 무늬가 들어가도록 새기면 음각, 구멍을 뚫어 무늬만 남기면 투각이라고 부릅니다. 2. 도자기에 이름 붙이는.. 2024. 10. 22.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 교섭적 성격 구어 의사소통은 화자와 청자가 동시에 참여하며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 중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상호작용을 이루며 의미를 재구성하는데 이를 상호 교섭이라고 합니다. 상호 교섭은 통상적인 상호 작용에서 한 층 나아가 의미를 새로이 만들어내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말하기 맥락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대화나 발표 상황 등 구어 의사소통을 하는 상황에서 말하는 사람은 듣는 이와 상호 교섭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합니다. 함께 의미를 재구성하기 위해 듣는 이의 반응을 살피고 말할 내용과 방법을 조절하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될 수 있습니다. 2024. 7. 21.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기후 인자) * 들어가며 기후와 관련한 내용을 학습할 때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을 혼동하기 쉽습니다. 두 용어의 의미를 살펴보고, 각각에 해당하는 예로 무엇이 있는시 살펴봅시다. * 기후 기후는 오랜 시간에 걸친 대기의 평균 상태를 의미합니다. 단기간의 대기 상태는 '기상'으로, 기후는 장기간의 기온이나 강수, 습도, 바람 등을 고려합니다. 기후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기후 요소(element)는 그 기후를 구성하는 것으로, 기온, 강수량, 바람이 있습니다. 기온, 강수량, 바람이 기후 요소 3가지로 주로 거론됩니다. 한편 기후 요인(factor)은 기후 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위도, 지형, 수륙 분포, 해류 등이 있습니.. 2024. 7. 15. 글의 구성 원리- 통일성의 원리, 일관성의 원리, 강조성의 원리 관련 • 초등 국어 임용 대비 자료 모음 • 조음 위치 동화, 조음 방법 동화 글의 구성 원리글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내용 구성 원리로도 부르는 글의 구성 원리 3가지를 살펴봅시다. 1. 통일성의 원리: 종속적인 제재는 일반적인 제재와 직결되어야 한다. - 통일성의 원리는 글의 내용이 주제와 부합하는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글 내용이 주제와 관련있고, 주제를 잘 나타내고 있다면 통일성의 원리를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주제와 거리가 먼 내용이 있다면 통일성의 원리를 해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예) 일반적인 제재로 ‘내 마음은 이중적’이었다면, 종속적인 제재로 긍정적인 내용과 부정적인 내용이 모두 들어가야 한다. 2. 일관성의 원리.. 2024. 6. 21. 공감적 듣기 방법: 소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공감적 듣기 방법 1. 공감적 듣기: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며 듣는 것을 말함 참고 관련 2015 국어과 교육과정 기능: 경청/공감하기 2. 공감적 듣기 방법 //소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청킹 집격요반: 집을 격하게 요구하는 반장 가. 소극적 듣기 (= 소극적 들어주기 방법) 1) 집중하기: 대화 상대에게 적절한 표정/몸짓을 하고 눈을 맞추어 집중하는 것 예) (자연스럽게 눈을 맞춘다.) 2) 격려하기: 대화 상대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도록 반응하며 배려하는 것 2007중등 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해 봐. 나. 적극적 듣기 (= 적극적 들어주기 방법) 2021중등 1) 요약하기: 상대의 말을 객관적으로 요약해주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참고 적극적 듣기를 하면 대화 상대가 객관화.. 2023. 9.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