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기후와 관련한 내용을 학습할 때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을 혼동하기 쉽습니다. 두 용어의 의미를 살펴보고, 각각에 해당하는 예로 무엇이 있는시 살펴봅시다.
* 기후
기후는 오랜 시간에 걸친 대기의 평균 상태를 의미합니다. 단기간의 대기 상태는 '기상'으로, 기후는 장기간의 기온이나 강수, 습도, 바람 등을 고려합니다. 기후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기후 요소(element)는 그 기후를 구성하는 것으로, 기온, 강수량, 바람이 있습니다. 기온, 강수량, 바람이 기후 요소 3가지로 주로 거론됩니다.
한편 기후 요인(factor)은 기후 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위도, 지형, 수륙 분포, 해류 등이 있습니다. 한반도가 대륙성 기후를 띠는 까닭 중 하나로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인데, 위도는 대륙성 기후에 영향을 준 기후 요인입니다.
정리 기후를 구성한다면 기후 요소, 기후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면 기후 요인(기후 인자)
* 정리
기후 요소 | 기후 요인 |
- 기후를 구성하는 것 - 기후 요소 3가지: 기온, 강수량, 바람 |
- 기후 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 - 위도, 지형, 수륙 분포, 해류 등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