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미술창작 교과는 중/고등학교 미술과 영역명이 다릅니다. 영역명을 따로 알아두도록 합시다.
>> 미술창작 영역명: 설계와 창작, 창작의 확장
(1) 설계와 창작
[12미창01-01]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의 진로나 관심 분야와 연결된 주제를 탐색할 수 있다.
해설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및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의 여러 관심 분야를 면밀하게 탐색하는 과정을 통하여 작품의 주제를 삶 속에서 찾도록 설정된 것; 자신의 진로, 지속가능한 발전, 생태전환, 시민성, 문화 다양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깊이 있는 탐색을 통해 표현 주제를 선정하는 데 초점
[12미창01-02] 창의적 발상 방법을 알고 아이디어를 시각화할 수 있다.
[12미창01-03] 표현 기법과 매체를 탐구하고 이해하여 발견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2미창01-04] 주제에 적합한 표현 매체와 방법을 선정하고 몰입하여 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
해설주제에 적합한 표현 매체와 방법을 선정하고 작품 창작에 몰입하여 창의적으로 작품을 제작하도록 설정; 여기에서 몰입은 자신의 의도대로 예술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창작의 전체 설계를 스스로 조절하며 집중하는 태도로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창작 활동을 즐기는 상위 수준의 태도를 의미; 설계와 창작은 주제 선정, 아이디어 발상 및 시각화, 표현 기법과 매체 탐구, 표현 매체와 방법 선정, 작품 창작으로 이어지는 창작의 과정 자체가 곧 작품이 됨을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표현 기능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을 존중하고 자유로운 창작을 위한 환경을 조성
• 자신의 의도에 적합한 표현 매체를 다양하게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창작 설계를 하도록 함
• 동시대와 지역사회의 문제들에 관심을 가지며 창작에 참여하는 실천적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함
• 뉴스, 기사, 서적, 잡지, 디지털 매체, 온라인 플랫폼 등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디지털 도구를 통해 정보를 탐색하여 아이디어를 시각화한 후 창작에 활용하도록 함
• 주제 탐색, 정보 수집, 아이디어 시각화 등의 창작 과정에서 다문화 학생, 특수교육 대상 학생, 학습이 느린 학생들이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격려하고 개별화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사의 지속적인 도움을 제공하도록 함
• 성취기준을 종합하여 최소 성취수준을 설정하고 개별 진단, 맞춤형 학습 관리를 통해서 학습자의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 최소 성취수준 도달을 위한 기준을 수립한 후 안내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삶과 연계한 주제를 선정하고 적합한 매체를 선택하여 창작할 수 있도록 도움
(2) 창작의 확장
[12미창02-01] 표현 기법과 매체를 적극적으로 실험하고 융합하여 효과를 발견하고 작품에 적용할 수 있다.
[12미창02-02] 도전적 문제 해결 태도로 주제, 표현 기법, 매체 등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심화하여 창작할 수 있다.
해설주제, 표현 기법, 매체를 심화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표현하도록 설정; 창작 결과를 전시하기 전 주제, 표현 기법, 매체의 표현을 통해 자신의 의도가 작품에 드러나는지 확인하고 발견된 문제를 해결하며 부족한 부분은 깊이 있는 표현을 추가하여 완성하도록 함;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심화하여 자신의 의도대로 주제를 표현하는 것에 초점
[12미창02-03] 전시 목적과 방법에 따라 전시를 기획하고 구성하면서 서로 다른 미적 인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12미창02-04] 창작의 과정과 결과의 연결성을 성찰하고 다양성을 존중하여 그 결과를 확장할 수 있다.
해설발상, 실험, 제작, 확장으로 이어지는 창작 과정과 온오프라인, 학교와 지역사회 등 시공간이 확장된 전시로 창작 과정과 결과가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기 위한 것; 작품의 전시를 통하여 창작의 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고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생각을 존중하는 것에 초점을 둠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자신의 진로와 미술을 연계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함
• 전시 기획과 구성 시 많은 관람객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학교 밖 지역사회 공간, 온라인 미술관, 메타버스 전시회 등으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
• 전시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서로의 의견을 공감하고 성찰하도록 함
• 주제 탐색부터 전시회 개최까지 창작의 전 과정 속 경험을 사진, 그림, 오디오, 영상, 인터뷰, 디지털 도구 등을 활용하여 프로세스폴리오, 디지털 포트폴리오로 기록하며 과정과 결과의 연결성을 해석하도록 함
• 다문화 학생, 특수교육 대상 학생, 학습이 느린 학생들이 자신의 의도를 예술로 표현하는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격려; 또한 학생 개별화 교수/학습 방법으로 표현 기법과 매체를 실험하고 융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전시에 직접 참여하여 동료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독려함
• 성취기준을 종합하여 최소 성취수준을 설정하고 개별 진단, 맞춤형 학습 관리를 통해서 학습자의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 최소 성취수준 도달을 위한 기준을 수립한 후 안내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삶과 연계한 주제를 선정하고 적합한 매체를 선택하여 창작할 수 있도록 도움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중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감비 내용체계 | 미술감상과비평 내체표 빈칸연습 (0) | 2025.03.23 |
---|---|
미감비 미술감상과비평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 중등미술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0) | 2025.03.20 |
미술 창작 내체표 빈칸연습 | 미술중등임용 교육과정 온라인암기장 (0) | 2025.03.16 |
(중등미술임용) 미술 창작 > 교수/학습 및 평가 온라인암기장 빈칸연습 (0) | 2025.03.10 |
미술 창작 성격 및 목표 | 중등미술임용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0) | 2025.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