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2025-2021 초등임용 지역별 티오 선발인원 경쟁률 정리 2025~2021년도 초등임용 모집인원 및 경쟁률 정리 참고 2025년도 부터 5개년치 초등임용 모집인원 및 경쟁률을 정리하였습니다. [Ctrl]+[F] 키를 이용해 원하는 지역을 찾으신 뒤 자료를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2025~2021 초등임용 전체 모집인원 변화 초등임용 모집인원 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감소하다 2025년도에 상승한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2021년도부터 4년간 전체 모집인원(일반+지역+장애전형)이 4000명을 밑돌다 2025년도에 4000명을 넘겼습니다. 접수인원도 마찬가지로 2021~2024년도 시기에는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5년도에 상승하였습니다. .. 2024. 12. 22. 책을 읽고 정리하는 방법 우린 책을 왜 읽을까요? 책의 저자를 살펴보면 저명한 대학의 교수님이 책을 쓴가 하면이름을 들어봤을 한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쓴 책이 '고전'이라는 형태로 책장에 꽂혀 있습니다. 독서는 이러한 인물의 삶과 만나는 행위이며, 배움을 넓힐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입니다.평생 살면서 얻어야 할 경험을 이미 그 경험을 체득한 사람에게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유비가 제갈공명의 지혜를 얻고자 집을 세 번 찾아간 노력을 생각하면 정말 경제적이긴 합니다... 그렇다면 책을 읽고 어떻게 하면 나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언어를 디자인하라언제나 언어가 문제다. 말 한마디, 글 한 줄 때문에 일도 사랑도 망하고 흥한다. 사람의 격도 그가 사용하는 ‘언어’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사람의 언어는 물고기의 비늘과 같.. 2024. 11. 26. 고려의 멸망과 조선 건국 고려의 멸망과 조선 건국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신흥 무인 세력•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으로 신흥 무인 세력이 성장함 - 홍건적: 원나라 말기 봉기한 한족 반란군으로, 붉은 두건을 둘러 홍건(紅巾)적이라고 부름 - 홍건적이 개경까지 공격하자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신가는 사건 발생 • 왜구가 침입하자 최무선이 화포를 사용해 왜구를 무찌르고, 이성계가 황산에서 승리함참고 최무선이 화약 제조법을 습득하다茂宣每見商客自江南來者, 便問火藥之法. 有一商以粗知對, 請置其家, 給養衣食, 累旬諮問, 頗得要領. - [태조실록]해석) 최무선은 항상 매일 강남에서 오는 자를 보면 곧바로 화약을 만드는 법을 물었다. 어떤 상인이 대강 안다고.. 2024. 11. 26. 고려 원간섭기와 공민왕의 개혁 고려 원간섭기와 공민왕의 개혁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원 간섭기 정치적/사회적 변화•권문세족의 등장: 원 간섭기 주요 관직을 독점한 귀족 가문•원나라가 동녕총관부, 탐라총관부, 쌍성총관부 설치하며 영토 상실 //동녕, 탐라는 충렬왕 때 반환되었고, 쌍성총관부는 공민왕 시기 공격하여 되찾음•원나라 군대를 물리는 대신 다루가치를 보내 내정 간섭•정동행성 설치: 征東行省, 해석하면 동쪽을 정복하기 위해 세운 관청; 일본 정벌 목적으로 설치한 관청이나 실패하고 고려 내정 간섭을 위한 기구로 변모 //(사위를 의미하는 한자 부마를 사용하여) 고려는 원의 '부마국'이 됨•고려 왕이 원나라 공주와 혼인•변발이나 연지 등 원나라의 풍속이 유입 .. 2024. 11. 22. 고려 중기 왕과 주요 업적/사건 고려 중기 왕과 주요 업적/사건(원간섭기 이전까지)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목종 (997~1009)•전시과를 개정함 • 음서제 채택 현종 (1009~1031) • 거란 2차 침입: 개경 함락 → 양규의 활약으로 거란 보급로 차단, 포로 구출 //왕규는 고려 초기 난 일으킨 인물; 이름 헷갈리지 않기! • 거란 3차 침입: 강감찬이 귀주에서 거란군 10만여명을 격파 (귀주대첩)•거란 침입 영향으로 팔관회 부활, 초조대장경 조판 //전쟁으로 흩어진 민심을 통합 덕종 (1031~1034) •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천리장성 축조(정종 시기 완성) 문종 (1046~1083)• 삼복제 시행: 사.. 2024. 11. 20. 무신정변, 무신집권기 정리 무신 정변, 무신 집권기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참고 고려 중기는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집권기로 왕의 업적보다는 그 시기 있었던 사건 및 인물을 위주로 학습하기를 권장합니다. 무신 정변 (1170)•풀이: 군사 관직을 맡은 무신(武臣)이 일으킨 정치 변란•배경: 무반(무신의 신분/관직)에 대한 차별이 만연함; 수박 중 대장군 이소응에게 문신 한뢰가 뺨을 때림 //무신에 대압 업신여김을 알 수 있는 사건 - 무신정변의 단초•의종 24년(1170), 보현원에서 이고 등이 임종식과 이복기를 죽이고 숨어 있던 한뢰를 죽임참고 무신들이 보현원에서 정변을 일으키다至昏, 駕近普賢院, 李高與李義方先行矯旨, 集巡檢軍. 王纔入院門, 群臣將退, 高等.. 2024. 11. 19. 이전 1 2 3 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