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6 - 미술 집중 오답노트 1. 구체적으로 특정한 장소나 전시 공간을 고려하여 제작된 작품과 공간이 하나의 총체적인 환경을 이루는 미술양식은? 설치미술 2. 시각 전달 디자인 중 자료 또는 지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은? 인포그래픽 3. 민화의 목적은 (장식)과 (주술)이다. 4. 서예 중 획의 가장자리 한편으로 붓끝이 움직이는 것은? 편봉 5. 빨강, 주황, 노랑 등은 따뜻한 느낌을 주며 (자극)적이고 흥분을 느끼게 한다. 파랑, 남색 등은 차가운 느낌을 주고 침착하고 어두우면서 (안정감)을 준다. 6. 줌인으로 촬영한 사진은? 클로즈업샷 7. 세잔의 다시점 정물화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A)를 형성한다. (A)에 들어갈 조형 요소는? 공간감 8. 3~4학년군 감상 영역의 평가 요소 1) 관심있는 미술작품과 미술간에 대한 (조사.. 2021. 5. 7.
5/6 - 음악 집중 오답노트 1. 정간보에서 실선 정간 한 칸은 (기본박)을 의미한다. 2. 음악을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며, 음악과 가치에 대한 안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생활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3. [4음01-05] 주변의 소리를 탐색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4. [뒷교] 평가 결과는 (교수 학습 계획)과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5. 현악 영산회상의 9곡 : 상영산 - 중영산 - 세영산 - 가락덜이 - 삼현도드리 - 하현도드리 - 염불도드리 - 타령 - (군악) 6. 소금의 혀치기 : '(르)'를 발음하듯 혀를 움직여 각 음이 구분되도록 연주한다. 7. [6음02-01] 해설 : 악곡에서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 2021. 5. 6.
5/5 - 영어 집중 오답노트 1. WLA - The use of (authentic literature) rather than artificial, specially prepared texts and exercises designed to practice individual reading skills. 2. 쉽고 짧은 글을 읽고 줄거리나 목적을 파악하는 평가는 글을 읽고 한두 문장으로 (말하기), 글을 읽고 메모 작성하기 등 말하기와 쓰기 영역과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3. 평가의 목적, (종류),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4. 자기 가족이나 친구의 생김새, 옷차림, 직업이나 장래희망에 대해 말하기와 자신이 살고 있는 집, 교실 및 학교를 묘사하는 활동을 (게임)이나 (역할놀이) 등과 연계하여 3-4.. 2021. 5. 5.
5/4 - 양치기 종합 오답노트 1. [교육학] 협동학습에서는 타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메타인지)를 발달시킬 수 있다. 2. [음악] 화음의 (자리바꿈) : 화음 구성음의 위치가 바뀌어도 구성음이 변하지 않으면 같은 화음인 것을 확인한다. C키의 (자리바꿈) : 도-미-솔 -> 미-솔-높은 도 3. [음악] 풍물놀이의 진법 중 동그랗게 원을 만들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진법은? 원진 4. [체육] 학생에게 어떤 특정한 유형이나 특성이 나타나는지 여부을 알고자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은? 체크리스트 5. [영어] 교수학습의 과정 중에 수시로 학습자의 숙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는? 형성 평가 6. [안생] 생활 안전 영역의 핵심개념? 학교에서의 안전생활.. 2021. 5. 4.
5/4 - 실과 집중 오답노트 1. [6실03-01] 해설 : 입었던 옷의 세탁 여부에 대한 결정, 옷 개어두기, 옷의 종류와 용도에 맞는 정리/보관은 위생과 (안전한 생활)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원) 절약과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고 스스로 옷을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로봇을 작동시켜 (소프트웨어와 로봇을 연계)하여 지도하도록 한다. 3. '문제해결 교수학습방법'의 교수학습단계 1) 문제 인식 2) (정보 수집을 통한 문제해결방안의 마련과 선택의 준비) 3) 문제 해결 방안 설정 4) 문제 해결 방안 적용 5) 결과에 대한 평가 3-1. 문제해결 교수학습방법은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중시하고 하여금 자기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합적으로 기르는 교수학습방법이다. 3.. 2021. 5. 4.
5/3 - 과학 집중 오답노트 1. 순환 학습 모형 단계명 : 탐색 - (개념 도입) - 개념 적용 2. 철은 탄소가 적게 들어있을수록 부드럽고 잘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3. 학습자는 과학적 문제와 관련된 (ㄱ)를 우선시한다. 관찰과 측정을 통해 (ㄱ)를 얻고, 그 과정에서 조건을 통제할 수 있다. 관찰 결과나 (ㄱ)로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거나 설명을 평가한다. (ㄱ)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말 : 증거 4. 화합물을 이루는 기본 입자가 분자인 것은 녹는점과 끓는점이 (낮다). (예, 산소, 메테인 등) 5. 발견 학습 모형에서 주어진 자료를 다양하게 관찰한 뒤, 관찰결과를 발표하는 단계는?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6. [뒷교] 평가는 (창의융합적) 문제 해결력 및 인성과 감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소재나 상황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 2021.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