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안내 즐거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항과 '성격' 항의 일부는 바른생활과와 겹쳐 생략하였습니다. 공부하실 때에는 원문을 꼭 지참하셔서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수정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영역의 과정/기능 내용 요소 중 '매체 활용하기'가 잘못 기재된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성격 및 목표
가. 성격
1) 즐거운 생활과는 학생이 놀이를 통해 ‘지금/여기/우리 삶’의 즐거움을 누리는 ‘놀이 경험 중심 교과’
2) 즐거운 생활과의 놀이: 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함으로써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모든 활동
3) 즐거운 생활과를 통해 신체 활동과 문화 예술 활동을 경험하며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 + 놀이에 몰입하여 즐김 → 학생은 공동체와 소통하고 감정과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아름다움을 음미하고 삶을 향유 //관련 핵심역량: 공동체 역량, 협력적 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나. 목표
총괄목표 놀이를 하면서 ‘지금/여기/우리 삶’을 즐긴다.
1) 문화 예술 활동과 신체 활동을 통해 지금을 즐긴다.
2) 자신이 속한 장소에서 놀이를 즐기며 감정과 정서를 표현한다.
3) 공동체와 더불어 생각이나 느낌을 나누며 창작하고 표현하는 활동에 참여한다.
내용 체계
우리는 누구로 살아갈까 | - 우리는 내가 누구인지 생각하며 생활한다. - 우리는 서로 관계를 맺으며 생활한다. |
지식/이해 | - 건강과 안전 - 신체 인식과 감각 - 자연의 아름다운 장면 |
과정/기능 | - 놀이하기 - 소통하기 - 감상하기 |
||
가치/태도 | - 어울림 - 건강한 생활 - 안전한 생활 |
||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 - 우리는 여러 공동체 속에서 생활한다. - 우리는 삶의 공간을 넓히며 생활한다. |
지식/이해 | - 우리나라의 문화 예술 - 다른나라의 문화 예술 |
과정/기능 | - 문화 예술 활동하기 - 표현하기 - 상상하기 |
||
가치/태도 | - 문화 예술 향유 | ||
우리는 지금 어떻게 살아갈까 | - 우리는 여러 유형의 주기로 생활한다. - 우리는 과거, 현재, 미래를 생각하며 생활한다. |
지식/이해 | - 자연의 변화 - 전통문화 - 아동권리 |
과정/기능 | - 자연에서 놀이하기 -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 권리 누리기 |
||
가치/태도 | - 활기찬 생활 - 전통의 소중함 - 안전과 안녕 |
||
우리는 무엇을 하며 살아갈까 | - 우리는 경험하고 상상하고 만들며 생활한다. - 우리는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며 생활한다. |
지식/이해 | - 생각과 느낌 |
과정/기능 | - 고치기와 만들기 - 놀이하기 - 전시하기 - 공연하기 - 경험 떠올리기 |
||
가치/태도 | - 자유로운 상상 - 의미 부여 |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생활 성취기준 빈칸 / 2022개정 교육과정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0) | 2023.10.11 |
---|---|
[국어 내체표]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1) | 2023.10.06 |
2022 슬기로운생활 교육과정 - 평가의 방향, 평가 방법 빈칸연습 (초등임용 대비) (1) | 2023.09.18 |
[초등임용] 슬생 교수학습 파트 빈칸연습 / 2022 개정 슬기로운생활 교육과정 ③ (0) | 2023.09.17 |
2022 개정 슬기로운생활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빈칸연습 (0) | 2023.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