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바른생활과 통합 온라인암기장 ④ - 평가

by 온암 2023. 9. 11.
300x250
728x170

(1) 평가의 방향


(가) 하나의 활동으로 여러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 성취 여부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가? (O,X) O

(나)-1 평가는 성취기준이나 교수/학습에 대한 평가, 교수/학습을 위한 평가, 교수/학습으로서 평가를 포괄함 //평가를 위한 교수학습 X 2025초등

(나)-2 평가자는 교사일 수 있고, 학생일 수도 있다. (O,X) O

(나)-3 학생의 지속적인 배움을 위하여 평가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 → 교사는 평가 결과를 교수에 환류하고 학생은 자신의 학습에 환류

(다) 바른 생활과는 실천 경험 중심의 교과로 가정과 연계하여 평가; 일회적 평가보다 학생의 생활화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

(라) 바른 생활과의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의 삶에서 바른 생활과의 역량이 드러나는지를 평가;  문제에 대한 이해, 지속적인 실천 능력, 공동체와 함께하는 태도 등을 함께 평가

(마) 점수 매기기, 등급 구분 등의 평가를 지양; 학생의 습관 형성을 꾸준히 관찰하여 학습한 정도나 변화 정도를 서술형으로 평가 가능

(2) 평가 방법


(나) 바른 생활과의 평가는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관찰 평가, 체크리스트, 실천 보고서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다) 바른 생활과의 영역별 평가 방법

‘우리는 누구로 살아갈까’ 영역

  ① 생활 습관 및 학습 습관 형성 -  규칙과 약속을 정하는 과정과 함께 스스로 정한 규칙을 실천하는지를 평가
  ② 나 -  자아 존중감이 내면화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평가
  ③ 가족, 친척, 친구, 이웃 등과의 관계나 주변 환경과의 관계 - 일시적인 평가보다 학생이 생활 속에서 몸소 실천하는지, 행동의 변화가 있는지를 꾸준히 평가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영역

  ① 공동체 - 공동체를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의 적절성, 실천성, 자발성 등을 평가
  ② 나라 -  나라가 소중한 이유를 스스로 정리하는 활동의 진정성 등을 통해 태도나 마음가짐을 평가
  ③ 문화 - 다양한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태도를 중심으로 평가
  ④ 새로운 기술 정보 - 스스로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하는 태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태도를 중심으로 평가



‘우리는 지금 어떻게 살아갈까’ 영역

  ① 일시적인 평가에 집중하기보다는 학생이 스스로 하루를 관리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일상과 연계하여 평가
  ② 계절 - 계절에 맞는 생활 습관을 생활화하고 있는지, 계절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해나가는지 등을 평가
  ③ 공동체성, 지속가능성
      - 함께 사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자신이 정한 사항을 실천하는지
      - 공동체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찾는지
      - 인류가 함께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지
      등을 평가



‘우리는 무엇을 하며 살아갈까’ 영역

  ① 학생이 자신의 활동에 대한 주체성과 성찰,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에 집중하여 평가
  ② 주체성과 성찰 -  생활 습관과 학습 습관 나열하고 되돌아보기, 협력적으로 학습하려는 태도 갖기, 새 학년 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과정/기능 익히기 등을 중심으로 평가
  ③ 타인의 이해, 배려 - 모두를 이롭게 하고자 하는 활동을 스스로 실천하기, 여럿이 소통하는 가운데 협력적으로 생각이나 의견 공유하기, 나와 다른 생각이나 의견에 개방적인 태도 갖기 등을 중심으로 평가

 

300x25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