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중등)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 임용) 2022개정 중학교 한문 성취기준 빈칸 온라인암기장

by 온암 2025. 1. 22.

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한문과 중등임용 특성상 한자어로 제시된 부분을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빈칸채우기 연습을 하시는 경우 [한자]키를 활용하셔서 '한글(漢字)' 형태로 입력하시면 정답으로 처리됩니다.

(1) 한자와 어휘

[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해설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여 한자의 모양을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으로 나눌 수 있음 //육서 중 가차, 전주 제외

 

[9한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해설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함

단어의 짜임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주술(主述) 관계, 술목(述目) 관계, 술보(述補) 관계, 수식(修飾) 관계, 병렬(竝列) 관계로 분류할 수 있음

    - 주술 관계주어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 주어서술어의 진술을 받는 대상이 되고, 서술어주어에 대해 진술하는 내용을 나타냄

    - 술목 관계서술어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 서술어동작이나 행위 또는 소유(예: , )를 나타내고,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됨

    - 술보 관계서술어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 서술어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서술어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 줌

    - 수식 관계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

    - 병렬 관계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

 

 

[9한01-04] 단어성어읽고 풀이한다.

 

[9한01-05] 단어성어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9한01-06]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해설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고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은 한자 문화권이 공유하고 있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보편적 문화에 대한 지식으로 간지(干支), 절기(節氣) 등이 있음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접하는 한자를 알아맞히거나 어휘문장을 구성하는 한자의 뜻을 유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도하되, 디지털 도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한자 관련 정보를 스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문법적인 내용에 지나치게 치중하지 않도록 함; 또한 한자 어휘의 조어(造語) 방법을 이해하고 단어와 성어의 풀이, 한문 독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 단어를 읽고 풀이하기 위해서는 단어에 사용된 한자의 뜻, 단어의 짜임 등을 고려하도록 지도; 또한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 위해서는 성어에 사용된 한자의 뜻, 유래 등을 고려하도록 지도

•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단순한 암기보다는 그 지시적/문맥적/비유적 의미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 지도; 또한 단어와 성어는 그림이나 사진, 신문, 방송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지도

•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고전적/보편적 문화를 중심으로 지도

 

 

 

(2) 문장

[9한02-01] 문장의 구조를 구별한다.

해설문장의 구조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음

 

[9한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해설글을 의미맥락에 맞도록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 여기에서 '의미에 맞게 읽기'는 음운 법칙에 맞게 읽기, 여러 가지 을 지닌 한자는 문맥에 맞게 읽기, 띄어 읽기를 말함

 

[9한02-03] 글을 바르게 풀이한다.

 

[9한02-04]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한다.

 

[9한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해설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본보기 삼아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은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을 말함

 

[9한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글은 한문을 처음 학습하는 중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한역 속담격언, 명언/명구 등 짧은 글 위주로 지도

• 문장의 구조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문장의 구조를 지나치게 분석하기보다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구조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함; 그리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바르게 풀이하는 데 중점을 두어 평가

•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읽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을 떠올리고 음미하며 의미 맥락에 따라 바르게 띄어 읽을 수 있도록 함; 한자는 여러 가지 음이 있어서, 글에서 사용된 한자의 을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 글을 바르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글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 문장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풀이하는 것이 중요

•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 가운데 중심이 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탐색하며 민주시민의 태도와 자질을 함양하고 사회적 현안과 비교할 수 있는 자료, 생태/환경 감수성을 기르고 생태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할 수 있는 자료 등 다양한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문을 주된 기록 수단으로 전승된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지도하되, 교과 간에 연계할 수 있는 내용, 민주시민으로서 인문학적 소양을 내실화할 수 있는 내용 등 학습자의 삶과 연계한 학습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