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한국 전통 도자기 기법, 도자기 이름 붙이는 순서 1. 한국의 전통도자기 기법가. 상감: 그릇의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백토를 채워넣는 기법나. 귀얄: 백토를 바른 붓으로 그릇에 칠해 무늬를 만드는 기법다. 덤벙: 백토를 탄 물에 그릇을 담갔다 꺼내는 기법라. 철화: 백토 분장 위에 철분이 들어간 안료로 그림을 그려넣는 기법 참고 청화: 흰색 도자기에 파란색 안료로 무늬를 꾸미는 방법; 백자에 사용한 기법마. 박지: 백토로 덮은 뒤 문양을 그리고 그 외 부분을 긁어내는 기법바. 인화: 도장을 표면에 찍고 백토를 메우는 기법사. 조화: 원하는 무늬를 긁어 새기는 기법 //박지 기법과 조화 기법의 차이 숙지하기 참고그외 무늬가 튀어나오도록 새기면 양각, 무늬가 들어가도록 새기면 음각, 구멍을 뚫어 무늬만 남기면 투각이라고 부릅니다. 2. 도자기에 이름 붙이는.. 2024. 10. 22. 판화 종류, 판화 특징 정리 참고 이 글은 초등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선생님을 대상으로 작성한 서브 노트입니다. 1. 판화의 종류 // 각 판화의 특징과 종류 파악하기! 가. 볼록 판화: 고무판화, 목판화, 지판화, 직판화, 리놀륨판화 1) 볼록 판화는 파내지 않은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발라 찍는 판화 2) 판과 찍힌 면의 좌우가 바뀜 3) 도장에 활용됨(옛날에는 낙관에 활용) - 음각: 백문인(흰 글씨가 나오므로); 성명인으로 사용 - 양각: 주문인(붉은 글씨가 나오므로); 자호인으로 사용 - 양음각: 주백문상간인(음각과 양각이 같이 있어 붉은 글씨와 흰 글씨가 모두 있음) 참고 목판화와 리놀륨판의 차이점: 목판은 나뭇결 때문에 주어진 방향으로 파야 하지만, 리놀륨판은 결이 없어 자유롭게 판을 팔 수 있음 참고 목판화 종류: 우드.. 2023. 8. 5. 붓 잡는 법, 붓 글씨 쓰는 법 | 미술 서예 파트 정리 서브노트 1. 붓 잡는 자세(완법) // 팔의 자세는 어떠한가? 가. 현완법: 팔이 겨드랑이에 붙지 X, 팔꿈치를 들고 씀 참고 현완법으로 쓴 글씨는 글씨체가 활달함 나. 제완법: 붓을 쥔 쪽 팔꿈치를 책상에 대고 씀 다. 침완법: 붓을 쥔 쪽 손을 반대 손으로 받쳐 씀 2. 붓 쥐는 법(집필법) // 붓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가. 단구법: 엄지+집게손가락으로 붓대 잡음 참고 판본체의 집필법: 단구법 / 판본체의 완법: 침완법(안정감 있음) 나. 쌍구법: 엄지+집게+가운뎃손가락으로 붓대 잡음 3. 붓 글씨 기초 가. 용필법 단계: 점 또는 획을 쓰는 방법 관련; 기필 - 행필 - 수필 1) 기필: 붓을 쓰기 시작하는 부분 - 노봉: 붓끝을 드러냄; 꼬리 부분의 붓을 눌렀다 뗌 - 장봉: 붓끝을 숨김; 누에 머리.. 2023. 8.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