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내체표 온라인암기장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임용 내용체계

by 온암 2023. 5. 10.

온암의 생각상자

 

 

 

사진: pixabay.com

1. 수와 연산

핵심 아이디어 사물의 양은 자연수, 분수, 소수 등으로 표현되며, 수는 자연수에서 정수, 유리수, 실수로 확장된다.
사칙계산은 자연수에 의해 정의되며 정수, 유리수, 실수의 사칙계산으로 확장되고 이때 연산의 성질이 일관되게 성립한다.
수와 사칙계산은 수학 학습의 기본이 되며, 실생활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1~2학년 3~4학년 5~6학년
네 자리 이하의 수
두 자리 수 범위의 덧셈과 뺄셈
한 자리 수의 곱셈

다섯 자리 이상의 수
분수
소수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자연수의 곱셈과 나눗셈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
소수의 덧셈과 뺄셈

약수와 배수
수의 범위와 올림, 버림, 반올림
자연수의 혼합계산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과 뺄셈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과정/기능 자연수, 분수, 소수 등 수 관련 개념과 원리를 탐구하기
수를 세고 읽고 쓰기
자연수, 분수,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방법을 설명하기
사칙계산의 의미와 계산 원리를 탐구하고 계산하기
수 감각연산 감각 기르기
연산 사이의 관계, 분수와 소수의 관계를 탐구하기
수의 범위와 올림, 버림, 반올림한 어림값을 실생활과 연결하기
● 자연수, 분수, 소수, 사칙계산을 실생활 및 타 교과와 연결하여 문제해결하기
가치/태도 사칙계산, 어림의 유용성 인식
분수 표현의 편리함 인식
● 수와 연산 관련 문제해결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

2. 변화와 관계

핵심 아이디어 ● 변화하는 현상에 반복적인 요소로 들어있는 규칙은 수나 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규칙을 탐구하는 것은 수학적으로 추측하고 일반화하는 데 기반이 된다.
동치 관계, 대응 관계, 비례 관계 등은 여러 현상에 들어있는 대상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기술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 수와 그 계산은 문자와 식을 사용하여 일반화되며, 특정한 관계를 만족시키는 미지의 값은 방정식과 부등식을 해결하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구해진다.
● 한 양이 변함에 따라 다른 양이 하나씩 정해지는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와 그 그래프는 변화하는 현상 속의 다양한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한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1~2학년 3~4학년 5~6학년
규칙 규칙
동치 관계
대응 관계
비와 비율
비례식과 비례배분
과정/기능 물체, 무늬, 수, 계산식의 배열에서 규칙을 탐구하기
규칙을 찾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하기
두 양의 관계를 탐구하고, 등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대응 관계를 탐구하고, □, △ 등을 사용하여 식으로 나타내고 설명하기
두 양의 관계비나 비율로 나타내기
● 비율을 분수, 소수, 백분율로 나타내기
● 비율을 실생활 및 타 교과와 연결하여 문제해결하기
비례식을 풀고, 주어진 양을 비례배분하기
가치/태도 규칙, 동치 관계 탐구에 대한 흥미
대응 관계, 비 표현의 편리함 인식
비와 비율의 유용성 인식
● 변화와 관계 관련 문제해결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

3. 도형과 측정

핵심 아이디어 ●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은 여러 가지 모양을 범주화한 것이며, 각각의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은 고유한 성질을 갖는다.
도형의 성질과 관계를 탐구하고 정당화하는 것은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데 기반이 된다.
● 측정은 여러 가지 속성의 양을 비교하고 속성에 따른 단위를 이용하여 양을 수치화함으로써 여러 가지 현상을 해석하거나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된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1~2학년 3~4학년 5~6학년
입체도형의 모양
평면도형과 그 구성 요소
양의 비교
시각과 시간(시, 분)
길이(cm, m)
도형의 기초
원의 구성 요소
여러 가지 삼각형
여러 가지 사각형
다각형
평면도형의 이동
시각과 시간(초)
길이(mm, km)
들이(L, mL)
무게(kg, g, t)
각도(°)
합동과 대칭
직육면체와 정육면체
각기둥과 각뿔
원기둥, 원뿔, 구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원주율과 원의 넓이
직육면체와 정육면체의 겉넓이와 부피
과정/기능 ● 여러 가지 사물과 도형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도형의 개념, 구성 요소, 성질 탐구하고 설명하기 
● 평면도형이나 입체도형 그리기와 만들기 
● 평면도형을 밀기, 뒤집기, 돌리기 한 모양을 추측하고 그리기 
쌓은 모양 추측하고 쌓기나무의 개수 구하기 
공간 감각 기르기
● 여러 가지 양을 비교, 측정, 어림하는 방법 탐구하기
측정 단위 사이의 관계 탐구하기 
측정 단위를 사용하여 양을 표현하기 
● 실생활 문제 상황에서 길이, 들이, 무게, 시간의 덧셈과 뺄셈하기 
● 도형의 둘레, 넓이, 부피 구하는 방법 탐구하기 
● 측정을 실생활 및 타 교과와 연결하여 문제해결하기
가치/태도 평면도형, 입체도형에 대한 흥미와 관심 
● 합동인 도형, 선대칭도형, 점대칭도형의 아름다움 인식
표준 단위의 필요성 인식 
넓이와 부피를 구하는 방법의 편리함 인식 
● 도형과 측정 관련 문제해결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

4. 자료와 가능성

핵심 아이디어 ● 자료를 수집, 정리, 해석하는 통계는 자료의 특징을 파악하고 두 집단을 비교하며 자료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활용된다. 
●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은 불확실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가능성을 확률로 수치화하면 불확실성을 수학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실천하고 생활 속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미래를 예측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데 기반이 된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1~2학년 3~4학년 5~6학년
자료의 분류

○, ×, /를 이용한 그래프
그림그래프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평균
띠그래프, 원그래프
가능성
과정/기능 자료를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설명하기 
탐구 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자료를 수집하기 
자료를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고 해석하기 
자료의 평균을 구하고 해석하기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문제해결하기 
●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비교하고 표현하기 
● 실생활과 연결하여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예상하기
가치/태도 표와 그래프의 편리함 인식 
평균의 유용성 인식 
● 자료를 이용한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가치 인식 
가능성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태도 
● 자료와 가능성 관련 문제해결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