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2022개정) ② -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by 온암 2023. 5. 10.
320x100
728x170

성격

● 한 번 훑어보기!

  1. 수학과란

    가.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

    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

    다.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과

 

  2. 수학 학습의 필요성

    가. 기본적인 삶 영위

    나. 일상생활을 포함한 다양한 맥락의 문제 해결에 도움

    [참고] 관련 교과역량: 문제해결

    다. 고등학교 수학 및 교과 학습의 토대 

    라. 수리 소양 형성: 자연과학, 공학, 의학 /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및 체육 분야에서 요구하는 수리 소양 형성

    마. 창의성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

 

  3. 수학 교과 역량 함양

   가. 수학 지식 이해 + 수학적 사고 과정과 기능 + 수학 가치 인식 및 수학적 태도

   [참고] 수학과 교과역량: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연결, 정보처리

   나. 민주 시민 및 세계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

   

사진: pixabay.com

목표

이 글에서는 세부 목표만 다룹니다.

1. 수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게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한다.

2. 수학적 사실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갖고 추측정당화를 통해 추론한다.

3. 수학적 사고와 전략에 대해 의사소통하고 수학적 표현의 편리함을 인식한다.

4.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 간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실생활이나 타 교과에 수학을 적용하여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한다.

5. 목적에 맞게 교구공학 도구를 활용하며 자료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정보에 근거한 합리적
의사 결정
을 한다.

 

 [참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하위 요소를 읽어 놓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요소: https://eduproject.tistory.com/5

 추론 역량과 하위요소: https://eduproject.tistory.com/6

 창의 융합 역량과 하위요소: https://eduproject.tistory.com/7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요소: https://eduproject.tistory.com/8

 정보처리 역량과 하위요소: https://eduproject.tistory.com/9

 태도 및 실천 역량과 하위요소: https://eduproject.tistory.com/1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