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도덕과 교육과정 온라인 빈칸 연습 - (1) 성격

by 온암 2023. 5. 13.

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도덕과 교육과정 성격은 학습해야 할 용어들이 있습니다. 교과 역량 외에도 폭넓게 학습해봅시다.

 

● 도덕과는 학교 인성 교육의 핵심 교과

● 도덕과에서 지향하는 인간상 2가지

  ① 도덕적인 인간

  ② 정의로운 시민

● 도덕 교과란?

  ① 21세기 한국인으로서 갖추고 있어야 할 인성의 기본 요소인 핵심 가치를 확고하게 내면화

  ② 도덕함의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는 교과

    - 도덕함이란?: 자신을 둘러싼 현상을 탐구, 내면의 도덕성 성찰, 스스로의 삶 속에서 실천

    [참고] 인/정/행 3요소가 동시에 반영

 

● 도덕과 교과역량 ★★

도덕과 교과역량 설명
자기 존중 및 관리 능력 1)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토대 위에서 자주적인 삶을 살고
2)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조절하며 이겨낼 수 있는 능력
도덕적 사고 능력 1) 일상의 문제를 도덕적으로 인식하고
2) 도덕적 판단 및 추론의 탐구 과정을 거쳐
3) 타당한 근거를 가지고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
도덕적 대인 관계 능력 1) 의사소통 과정에서 타인의 도덕적 요구 인식 및 수용
2) 이상적인 의사소통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도덕적 정서 능력 도덕성을 전제로 자신 및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배려할 수 있는 능력
도덕적 공동체 의식 1) 도덕규범과 정서 및 유대감을 근간으로
2) 자신이 속한 다양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갖고 살아갈 수 있는 능력
윤리적 성찰 및 실천 성향 1) 일상 세계에서 자신의 삶을 윤리적으로 성찰하는 토대 위에서
2)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도덕과는 실천적 성격의 교과

  ① 성실, 배려, 정의, 책임이라는 4개의 핵심 가치를 내면화 → 인성의 기본 요소 갖춤

  ② 도덕적인 삶을 자율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자율성책임성을 길러줌

 

● 도덕과의 영역과 핵심가치

  ① 자신과의 관계 영역: 성실

  ② 타인과의 관계 영역: 배려

  ③ 사회 및 공동체와의 관계 영역: 정의

  ④ 자연 및 초월과의 관계 영역: 책임

    [참고] 자신의 행위에 대한 인과적 책임과 삶의 물음에 대한 존재적 책임을 포용함.

 

● 도덕과와 인성교육

  ① 도덕성 발달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사회적 건강을 제고함

  ② 인문학적 사유와 성찰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 탐색 

    → 학교 인성 교육의 주관 교과

 

● 도덕과의 접근: 윤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되, 다루는 주제의 성격에 따라 도덕심리학, 정치철학 등 연관된 여러 학문의 접근 방법을 학제적으로 활용한다.

 

● 도덕과에서 추구하는 도덕함: 학문적 탐구로서의 윤리학 공부나 윤리 사상사에 관한 지적 이해를 넘어서서 한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도덕 현상에 대한 민감성에 기반을 둔 관심과 분석, 그 도덕 현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 내면에서 작동하는 도덕성에 관한 성찰실천 과정 자체를 의미

 

● 성실/배려에 대한 주석 설명

  ① 성실: 하늘의 명령으로서의 를 자신의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지향

  ② 배려: 불교 전통에서 강조해 온 자비와도 연결되어 있는 핵심 가치

 

복습하기

1) 도덕과의 교과역량으로는 자기 존중 및 관리 능력, 도덕적 사고 능력, 도덕적 대인 관계 능력, 도덕적 정서 능력, 도덕적 공동체 의식, 윤리적 성찰 및 실천 성향이 있다.

2) 불교 전통에서 강조한 자비와 연결되어 있는 핵심 가치를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쓰시오.

정답: 배려

3) 최 교사: 도덕과 핵심 가치 중 책임에는 (ㄱ)과 (ㄴ)가 있어요. (ㄱ)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인 반면, (ㄴ)은 삶의 물음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조금 달라요.

  * (ㄱ)과 (ㄴ)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정답: (ㄱ)-인과적 책임, (ㄴ)-존재적 책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