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초등임용 대비 국어 모형 단계별 온라인암기장 국어 모형 단계별 세부사항 온라인암기장 국어 직접 교수모형1. 설명하기: 동기 유발, 학습문제 제시, 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 안내, 학습의 방법 또는 절차 안내2. 시범 보이기: 적용 사례 또는 예시 제시, 방법 또는 절차 시범 3. 질문하기: 세부 단계별 질문하기, 학습 내용 및 방법 재확인 4. 활동하기: 적용, 반복 연습 국어 문제 해결 학습 모형1. 문제 확인하기: 동기 유발, 학습 문제 확인, 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 확인2. 문제 해결 방법 찾기: 문제 해결 방법 탐색, 문제 해결 계획 및 절차 확인 3. 문제 해결하기: 문제 해결 활동, 문제 해결 4. 일반화하기: 적용 및 연습, 점검 및 정착 국어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1. 문제 발견하기: 동기 유발, 학습 문제 확인, .. 2025. 2. 28. 초등임용) 미술과 교수학습모형 단계별 활동 온라인암기장 미술 모형 단계별 세부사항 온라인암기장 미술 귀납적 사고법1. 문제 인식 - 제시된 자료를 통해 문제를 파악함 - 자료는 학습자의 기존 사고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고 학습 동기/의욕을 높일 수 있어야 함2. 관계 탐색 - 학습 문제와 관련해 제시된 자료를 자유롭게 탐색함 - 가능한 다양한 관찰/탐색의 기회를 제공 - 학습 주제에 대한 생각을 다른 학생과 대화를 통해 정교화3. 개념 발견 - 관찰/탐색을 통해 상호 관계를 찾고 규칙성을 발견 - 개념은 언어를 통해 형성 → 용어를 정의하여 추상 개념을 언어화할 수 있도록 함4. 개념 적용 - 형성된 개념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응용; 실생활이나 표현 활동에 적용하도록 함5. 정리 및 발전 - 학습 과정을 반성하는 과정; 학습.. 2025. 2. 15. 수학 모형 단계명, 단계별 활동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수학 모형 단계별 세부사항 온라인암기장 수학 개념 학습 모형* 개념 형성 = 대상을 분류 + 공통 성질을 추상화하는 활동* 학생에게 범례를 제시할 때에는 정례와 비례를 제시1. 범례 제시 및 범례 분류하기 - 범례(정례, 비례) 제시 - 범례를 여러 가지 속성에 따라 분류 - 분류된 예들의 공통 성질을 암묵적으로 생각하기2. 공통의 성질 추상화하기 - 분류한 예들의 공통 성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 분류한 예들의 공통 성질을 추상화하기3. 개념 정의하기 - 추상화한 공통 성질, 수학적 용어와 기호를 사용하여 개념 정의하기4. 개념 익히기 -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기 수학 속성 모형1. 개념의 정의 - 학생이 배울 개념을 정의하기2. 속성의 제시.. 2025. 1. 30. 초등임용대비 통합교과 실과 모형 빈칸연습 참고 (25.3.28.) 통합 단원 개발 도구 8가지를 추가하였습니다. 잘못 반영된 내용이 있다면 방명록에 알려주세요.참고 (25.2.13.) 기술적 문제해결과정 수정, 문제중심학습, 모듈학습 추가 완료참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통합 모형들입니다. 2022개정하면서 변동한 사항 있다면 댓글이나 방명록에 알려주세요. 통합 실천활동 중심 교수학습모형학습 문제 인지하기 → 바른 행동 알아보기 → 바른 행동 해보기 → 바른 행동 다짐하기 통합 탐구활동 중심 교수학습모형탐구 상황 확인하기 → 탐색하기 → 탐구 활동하기 → 탐구 결과 정리하기 통합 표현놀이 중심 교수학습모형준비하기 → 탐색하기 → 표현 놀이하기 → 느낌 나누기 통합 (단원 개발 도구) 성취기준 출발형성취기준 확인하기 → 수.. 2024. 10. 29. 초등임용 모형 단계 빈칸 채우기 #3 - 사회, 과학 초등임용에 등장하는 모형들을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추가하실 내용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1 - 수학, 미술, 도덕, 도덕 6과정 절차#2 - 체육, 국어 사회 속성 모형문제제기 → 속성 제시와 정의 → 속성 검토 → 사례 검토 → 가설 검증 → 개념 분석 → 관련 문제 검토 → 평가 사회 원형 모형문제 제기 → 개념의 원형과 정의 제시 → 비례 제시 → 속성 검토 → 개념 분석 → 관련 문제 검토 → 평가 사회 상황 모형문제 제기 → 상황 및 경험의 제시 → 사례 검토 → 속성 검토 → 개념 분석 → 관련 문제 검토 → 평가 사회 탐구 학습 모형(마시알라스, 콕스)탐구 문제 파악 → 가설설정 → 탐색 → 증거 제시 → 일반화 사회 합리적 의사 결정 학습 모형(뱅크스).. 2024. 9. 14. 초등임용 모형 단계 빈칸 채우기 #2 - 체육, 국어 [참고] 예전에 학습했던 모형을 기준으로 만든 자료이므로, 최신 임용고시 범위와 다를 수 있습니다. 추가할 내용이 있더나 수정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체육 직접 교수 모형전시 과제 복습 → 새로운 과제 제시 → 초기 과제 연습 → 피드백 및 교정 → 독자적인 연습 → 본시 학습 복습 체육 이해 중심 게임 모형게임 소개 → 게임 이해 → 전술 이해 → 의사 결정 → 기술 연습 → 실제 게임 수행 체육 스포츠 교육 모형의 특성 6가지(괄호 안 글자는 첫 글자 또는 첫 글자 초성)(ㅅ)시즌, (ㅌ)팀 소속, (공)공식 경기, (결)결승전 행사, (기)기록 보존, (ㅊ)축제화 체육 팀-게임 토너먼트 (TGT)팀 편성 → 학습 과제 제시 및 1차 연습 → 1차 평가 및 같은 등위끼리의 점.. 2024. 9. 13.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