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 학습 모형 개요 수학과 교수학습모형으로는 개념학습모형, 원리탐구학습모형, 귀납추론학습모형, 문제해결학습모형이 있다. 모형이 적어서 기분이 좋다 I. 개념학습모형 개념은 수학, 사회, 과학 등 여러 교과에서 모두 강조한다. 수학뿐만 아니라 사회과에도 개념학습모형이 있다. 이를 세분화하면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과학과에는 개념학습모형이라는 명칭은 없지만 순환학습모형의 명칭을 보면 '탐색-개념도입-개념적용'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과학 개념을 구성할 때 순환학습모형을 사용하는 것을 보면, 개념이 여러 교과에서 중요한 지식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스켐프(Skemp)는 개념을 '정적인 예'와 '부적인 예'로 나누어 형성하게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사회과 속성모형의 '사례 검토', 원형모형의 '.. 2021. 2. 3. 사회과 주요 교수학습모형 목차 I. 개념학습모형 II. 탐구학습모형 III. 문제해결학습모형 IV. 의사결정학습모형 V. 논쟁문제학습모형 VI. 협동학습 VII. 기타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시민성 함양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I. 개념학습모형 개념은 시민성의 지식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쉽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학습모형은 개념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i) 속성모형 : 개념이 갖는 결정적 속성을 중심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수업 - 문제 제기 - 속성 제시와 정의 : 결정적 속성을 제시하고 개념을 정의한다. (‘속성’ 제개정) - 속성 검토 - 사례 검토 - 가설 .. 2021. 2. 3.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