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 언어(teacher talk)의 의미, 특징, 질문 유형 | 초등영어교육론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교사 언어(teacher talk)를 알아봅시다. TEE를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에게 알맞은 수준의 언어를 구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교사 언어의 의미, 교사 언어의 특징, 교사의 질문 유형을 알아봅시다. 교사 언어 teacher talk 가. 교사 언어 교사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조정한 후 구사하는 제2언어 나. 교사 언어의 특징 1) 반복적이다. 2) 천천히 정확한 발음으로 말한다. 3) 문법, 어휘를 조정하여 말한다. 가) 문법: 덜 복잡한 구조로 교사 언어를 구사함 나) 어휘: 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교사 언어를 구사함 4) 담화를 조정하여 말한다. 다. 교사 질문의 유형 1) referential questions: 모르는 정보를 얻기 위해 하.. 2023. 7. 21.
[초등임용영어] 학습자 전략 2 -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 총정리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학습한 학습 전략(learning strategies)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에 대해 학습해 보겠습니다. [추신] 수정할 내용이 있거나, 건의하고 싶으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의사소통 전략 의사소통 전략은 효과적인 output을 위해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크게 avoidance strategies와 compensatory strategies가 있습니다. 가. avoidance strategies avoidance strategies는 회피 전략이라고도 하며, 어려움을 피하여 의사소통하는 전략들을 의미합니다. 1) message abandonment: 언어의 어려움으로 미완성인 상태로 말을 하는 전략 .. 2023. 7. 20.
[초등임용영어] 학습자 전략 1 - 학습 전략(learning strategies) 총정리 들어가며 학습자 전략(learner strategies)에는 크게 학습 전략, 의사소통 전략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학습 전략에는 무엇이 있고 연습문제를 풀어보며 점검해봅시다. 학습 전략 learning strategies 가. metacognitive strategies 상위 인지 전략으로, 효과적인 언어 학습을 위해 스스로의 이해도를 점검하고 평가하는 전략 [참고] metacognitive strategies는 제2언어 학습과 직접적 연관 X 1) functional planning: 제2언어 학습을 위해 관련 언어 요소들을 준비하거나 학습하는 전략 2) delayed production: 의식적으로 듣기를 먼저 하고 말하기를 늦추는 전략 (주로 자신감이 없거나 처음 학습할 때 나타남) ■ (3~5.. 2023. 7. 19.
[초등임용] 도덕 6수업 과정절차 1.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 인지적 접근 과정 도입 - 정의적 접근 과정 - 정리 행동적 접근 과정 1) 인지적 접근 과정 관련 원리: 인지화의 원리 ① 지식 이해형: 도덕적 지식 이해 심화 ② 가치 판단형: 도덕적 사고 판단력 및 합리적 의사결정력 기르기 2) 정의적 접근 과정 관련 원리: 심정화의 원리 ① 모범 감화형: 도덕적 감정/정서 기르기 ② 가치 심화형: 도덕적 열정/의지 기르기 3) 행동적 접근 과정 관련 원리: 행동화의 원리 ① 실습 실연형: 도덕적 행위 기능/능력 기르기 ② 실천 체험형: 도덕적 행동 성향/습관 기르기 2. 6수업 과정/절차 [참고] 도덕과에는 6가지 수업 과정/절차가 있습니다. 대체로 1,4,5단계는 같지만 2,3단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눈여겨 공부해봅시다. .. 2023. 5. 21.
미술 모형, 미술과 교수학습모형 초등 임용 미술과 온라인암기장 모음(참고 자료: 2015 미술과 교육과정) 1. 직접 교수법2. 창의적 문제해결법3. 반응 중심 학습법4. 귀납적 사고법 1. 직접 교수법교사가 직접 설명하거나 시범을 보이는 방법입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표현 재료나 용구를 다룰 때 직접 교수법을 활용하도록 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밑교직접 교수법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재료와 용구의 사용법을 구조화된 연습과 독립적인 연습을 통해 익히고,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직접 교수법 단계문제 인식설명 및 시범질의 응답연습활동작품 제작정리 및 발전1) 문제 인식2) 설명 및 시범3) 질의 응답 - 학습자가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 질의응답하기 - 학습자의 연습.. 2023. 5. 6.
사회과 교수학습모형 1. 개념학습모형 가) 속성모형 나) 원형모형 다) 상황모형 2. 탐구학습모형 가) 마시알라스/콕스 나) 뱅크스/차경수 3. 문제해결학습모형 4. 논쟁문제학습모형 5.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뱅크스) 6. 협동학습모형 1. 개념학습모형 가) 속성모형 나) 원형모형 다) 상황모형 가) 속성모형 : 결정적 속성을 토대로 개념을 이해;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 [청킹] 문제속사가개관평 문제 제기 속성 제시와 정의 (속제정) 속성검토 사례검토 개념분석 - 관련된 개념 분석 관련문제검토 - 관련된 현실 속 문제 검토 평가 나) 원형모형 : 하나의 원형(prototype)을 가지고 개념을 이해; 개념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움 [청킹] 문제비속개관평 문제 제기 개념의 원형과 정의 제시 (개원정제) 비례.. 2021.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