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교과교육론&모형

[초등임용] 도덕 6수업 과정절차

by 온암 2023. 5. 21.

온암의 생각상자

1.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

    인지적 접근 과정    
도입 - 정의적 접근 과정 - 정리
    행동적 접근 과정

 

1) 인지적 접근 과정

  관련 원리: 인지화의 원리

  ① 지식 이해형: 도덕적 지식 이해 심화

  ② 가치 판단형: 도덕적 사고 판단력 및 합리적 의사결정력 기르기

 

2) 정의적 접근 과정

  관련 원리: 심정화의 원리

  ① 모범 감화형: 도덕적 감정/정서 기르기

  ② 가치 심화형: 도덕적 열정/의지 기르기

 

3) 행동적 접근 과정

  관련 원리: 행동화의 원리

  ① 실습 실연형: 도덕적 행위 기능/능력 기르기

  ② 실천 체험형: 도덕적 행동 성향/습관 기르기

 

2. 6수업 과정/절차

  [참고] 도덕과에는 6가지 수업 과정/절차가 있습니다. 대체로 1,4,5단계는 같지만 2,3단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눈여겨 공부해봅시다.

 

 

1) 지식 이해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가치 사례 제시 및 관련 규범 파악

    - 가치 규범을 찾아낼 때 저학년은 규범적 진술, 고학년은 규범적 용어

  (3) 가치 규범 탐구 및 이해의 심화

    - 다루는 도덕적 가치 규범의 의미를 학생들이 명확히 이해하도록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2) 가치 판단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및 분석

  (3) 도덕 판단/합리적 의사결정의 학습

    - 도덕 판단: 당위적 주장이 담긴 가치판단

    - 귀납적 추론, 상위 원리로부터 연역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3) 모범 감화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도덕적 모범 제시와 관련 내용 파악

    - 뒷받침되는 이론: 모델링 이론

  (3) 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 감화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4) 가치 심화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가치 사례의 제시 및 성찰

    - 문제의식을 느끼도록

  (3) 가치 규범의 추구 및 심화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5) 실습 실연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모범 행동 제시 및 이해

  (3) 모범 행동의 실습 실연

    - 실습: 도덕적 행동을 직접적인 실습/훈련을 통해 익힘

    - 실연: 가상의 상황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터득함

    - 실습 실연의 결과를 통해 학생 개개인이 주체화/개인화를 이루어내도록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6) 실천 체험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실천 체험 주제 설정 및 계획

  (3) 실천 체험 학습활동의 실행

  (4) 실천 체험 결과 발표 및 도덕적 정서 의지 강화

    - 경험의 공유와 일반화가 이루어짐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자료출처: pixabay


3. 6수업 과정/절차 빈칸연습

  [참고] 6수업 과정/절차 중 중요한 부분을 빈칸으로 만들었습니다. 커서를 올리면 답을 확인할 수 있으니 아웃풋 자료로 활용하세요.

 

1) 지식 이해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가치 사례 제시 및 관련 규범 파악

  (3) 가치 규범 탐구 및 이해의 심화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2) 가치 판단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및 분석

  (3) 도덕 판단/합리적 의사결정의 학습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3) 모범 감화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도덕적 모범 제시와 관련 내용 파악

  (3) 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 감화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4) 가치 심화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가치 사례의 제시 및 성찰

  (3) 가치 규범의 추구 및 심화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5) 실습 실연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모범 행동 제시 및 이해

  (3) 모범 행동의 실습 실연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6) 실천 체험 중심의 수업 과정/절차

  (1) 학습 문제 및 동기 유발

  (2) 실천 체험 주제 설정 및 계획

  (3) 실천 체험 학습활동의 실행

  (4) 실천 체험 결과 발표 및 도덕적 정서 의지 강화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의 생활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