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교과교육론&모형

미술 모형, 미술과 교수학습모형

by 온암 2023. 5. 6.

온암의 생각상자

 

초등 임용 미술과 온라인암기장 모음

(참고 자료: 2015 미술과 교육과정)

 

<미술과 교수학습모형>

1. 직접 교수법

2. 창의적 문제해결법

3. 반응 중심 학습법

4. 귀납적 사고법

 

1. 직접 교수법

교사가 직접 설명하거나 시범을 보이는 방법입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표현 재료나 용구를 다룰 때 직접 교수법을 활용하도록 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밑교

직접 교수법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재료와 용구의 사용법을 구조화된 연습과 독립적인 연습을 통해 익히고,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직접 교수법 단계

문제 인식 설명 및 시범 질의 응답 연습활동 작품 제작 정리 및 발전

1) 문제 인식

2) 설명 및 시범

3) 질의 응답

    - 학습자가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 질의응답하기

    - 학습자의 연습활동을 관찰하고 피드백하기

4) 연습 활동

5) 작품 제작

6) 정리 및 발전

    - 만약 보충이 필요하다면 [설명 및 시범] 단계와 [연습활동] 단계를 다시 반복할 수 있음

 

2. 창의적 문제해결법

학습자가 표현 영역 활동을 수행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모형으로, 미술과 교과 역량 중 창의/융합 능력과 관계가 있습니다.

 

창의적 문제해결법 단계

문제 인식 아이디어 탐색 아이디어 정교화 아이디어 적용 종합 및 재검토

1) 문제 인식

2) 아이디어 탐색

3) 아이디어 정교화: 아이디어의 시각화, 여러 가지 아이디어 중 가장 좋은 아이디어 선택, 아이디어 정교화

4) 아이디어 적용: 아이디어를 직접 표현해보는 단계

5) 종합 및 재검토

 

이미지: pixabay

3. 반응 중심 학습법

반응 중심 학습법은 감상 영역 활동과 주로 연계되는 교수학습모형입니다. 학습자의 작품에 대한 반응을 상호작용으로 명료화한 뒤 반응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내면화할 수 있습니다. 미술과 교과 역량 중 미술 문화 이해 능력, 미적 감수성과 관계가 있습니다.

 

반응 중심 학습법 단계

반응 형성 반응 명료화 반응 심화 정리 및 발전

1) 반응 형성

2) 반응 명료화

  - 교사+학생 상호작용

  - 학생+학생 상호작용

3) 반응 심화: 표현 활동으로 반응을 심화, 비슷하거나 관련있는 작품을 감상함

4) 정리 및 발전: 반응의 내면화

 

4. 귀납적 사고법

귀납적 사고법은 여러 가지 자료에서 규칙성을 찾고 개념을 적용하는 교수학습모형입니다. 반응 중심 학습법과 마찬가지로 감상 영역에서 효과적인 모형입니다.

 

귀납적 사고법 단계

문제 인식 관계 탐색 개념 발견 개념 적용 정리 및 발전

1) 문제 인식

2) 관계 탐색: 여러 가지 학습 자료를 탐색, 생각 정교화/명확화

3) 개념 발견

  - 관계 탐색 단계에서 얻어낸 정보를 바탕으로 상호 관계를 파악한 뒤 규칙성을 발견함.

  - 용어의 정의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을 다룰 수 있음.

4) 개념 적용

5) 정리 및 발전

 

연습문제

※ 다음 미술과 교수학습모형을 순서대로 설명하시오.

1) 귀납적 사고법

2) 반응 중심 학습법

3) 창의적 문제해결법

4) 직접 교수법

정답)

1) 문제 인식 - 관계 탐색 - 개념 발견 - 개념 적용 - 정리 및 발전

2) 반응 형성 - 반응 명료화 - 반응 심화 - 정리 및 발전

3) 문제 인식 - 아이디어 탐색 - 아이디어 정교화 - 아이디어 적용 - 종합 및 재검토

4) 문제 인식 - 설명 및 시범 - 질의 응답 연습활동 - 작품 제작 - 정리 및 발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