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접 교수모형
<절차>
(1) 설명하기
- 동기유발 / 학습문제 제시 / 학습문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 안내
- 학습의 방법 또는 절차 안내
(2) 시범 보이기
- 적용 사례 또는 예시 제시
- 방법 또는 절차 시범
(3) 질문하기
- 세부 단계별 질문하기
- 학습 내용 및 방법 재확인
(4) 활동하기
- 적용, 반복 연습
<특징 및 유의사항>
- 명시적으로 설명과 시범을 할 수 있어야 함
- 기본 학습 차시에 활용 가능
- 문법, 문학 개념/원리 학습에 유용
-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생 대상으로 가능
- 시범을 보일 때에는 (생각 구술법)을 적용할 수 있음
- (책임 이양의 원리)가 적용됨
2.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절차>
(1) 문제 확인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2) 문제 해결 방법 찾기
- 문제 해결 방법 탐색
- 문제 해결 계획 및 절차 확인
(3) 문제 해결하기
- 문제 해결활동
- 문제 해결
(4) 일반화하기
- 적용 및 연습, 점검 및 정착
<특징 및 유의사항>
- 학습자 주도 학습모형 : 학습자가 재구성, 책임감
- 중재자로서의 교사, 모든 과정을 할 수 없다면 한두 단계에서 학습자 주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3.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절차>
(1) 문제 발견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 학습과제 분석
(2) 아이디어 생성하기
- 다른 각도에서 검토
- 다양한 아이디어 산출
(3) 아이디어 선택하기
- 아이디어 비교하기
- 최선의 아이디어 선택하기
(4) 아이디어 적용하기
- 적용하기
- 아이디어 적용 결과 발표하기
- 아이디어 적용 결과 평가하기
<특징 및 유의사항>
- 저학년 : 풍부하고 다양한 아이디어 / 고학년 : 검증하고 다듬는 단계
-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발문이나 과제 (수학 뒷교 - 설명식교수 > 사촉발)
-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다양성을 강조
4.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절차>
(1) 문제 확인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2) 자료 탐색하기
- 기본 자료 또는 사례 탐구
- 추가 자료 또는 사례 탐구
(3) 지식 발견하기
- 자료 또는 사례 비교
- 지식의 발견 및 정리
(4) 지식 적용하기
- 지식의 적용
- 지식의 일반화
<특징 및 유의사항>
- 문법지식, 문학지식 습득에 적합한 모형
- 귀납적 사고에 기초한 모형
cf) 과학과 - 경험 학습 모형
- 교사의 비계가 필요 (스캐폴딩이 필요)
- 학습동기가 일정한 수준 + 충분한 정보
5. 반응 중심 학습 모형
<절차>
(1) 반응 준비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 배경지식 활성화
(2) 반응 형성하기
- 문학 작품 읽기
- 작품에 대한 개인 반응 정리
(3) 반응 명료화하기
- 작품에 대한 개인 반응 공유와 상호작용
- 자신의 반응 정교화 및 재정리
(4) 반응 심화하기
- 다른 작품과 관련짓기
- 일반화하기
<특징 및 유의사항>
- 문학 감상 수업에 적절한 학습모형
- 작품 읽기와 이해 과정이 모두 중요함
- 편협한 읽기/무정부적 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
- 상호텍스트성 : 반응심화하기 단계에서 일어남
6. 역할 수행 학습 모형
<절차>
(1) 상황 설정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 상황 분석 및 설정
(2) 준비 및 연습하기
- 역할 분석 및 설정
- 역할 수행 연습
(3) 실연하기
- 실연 준비하기
- 실연하기
(4) 평가하기
- 평가하기
- 정리하기
<특징 및 유의사항>
- 상황 분석 및 설정 : (1)언어적 문제 상황 (2) 문학 작품 - 문학적 상상력
- 학습 목표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
7. 가치 탐구 학습 모형
<절차>
(1) 문제 분석하기
- 동유/학제/학필중
- 문제 상황 분석
(2) 가치 확인하기
- 가치 발견 또는 추출
- 발견 또는 추출한 가치의 근거 확인
(3) 가치 평가하기
- 가치의 비교 및 평가
- 가치의 선택
(4) 가치 일반화하기
- 가치의 적용
- 가치의 재평가
<특징 및 유의사항>
-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모형 ->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 국어과의 가치 탐구 학습 : 다양한 가치의 발견과 비판적 수용
- 다양한 가치를 공평하게 다루기
- 토의 토론 활동으로 가치를 정교화할 수 있음
8. 전문가 협동 학습 모형
<절차>
(1) 계획하기
- 동유
- 학습 문제 및 소주제 확인
- 역할 분담
(2) 탐색하기
- 주제 해결 방법 탐색
- 주제 해결
- 상호 교수 방법 탐구
(3) 서로 가르치기
- 상호 교수
- 질의 및 응답
(4) 발표 및 정리하기
- 전체 발표
- 문제점 확인 및 정리
<특징 및 유의사항>
- 소주제 : 전문가 집단 학습 주제 -> (소)주제를 해결하면 상호 교수 방법을 찾음 -> 모집단으로 돌아가 가르치고 Q&A
9. 토의 토론학습모형
<절차>
(1) 주제 확인하기
- 동유/학확
- 토의토론 목적 및 주제 확인
(2) 토의토론 준비하기
- 주제에 대한 자신의 관점 정하기
- 주제에 대한 자료 수집 및 정리
- 토의 토론 방법 및 절차 확인
(3) 토의토론하기
- 각자 의견 발표
- 반대 또는 찬성 의견 제시
(4) 정리 및 평가하기
- 토의토론 결과 정리하기
- 토의토론 평가
<특징 및 유의사항>
- 고차적인 인지 능력의 함양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교과교육론&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도덕 6수업 과정절차 (0) | 2023.05.21 |
---|---|
미술 모형, 미술과 교수학습모형 (0) | 2023.05.06 |
사회과 교수학습모형 (0) | 2021.04.19 |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 학습 모형 (0) | 2021.02.03 |
사회과 주요 교수학습모형 (0) | 2021.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