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국어 품사 정리 품사 분류 기준품사란, 단어를 어떤 기준의 공통성에 따라 나눈 갈래를 말합니다. 국어에는 3가지 기준이 있으며 형태, 기능, 의미가 그것입니다. 형태에 따른 분류(2가지), 기능에 따른 분류(5가지), 의미에 따른 분류(9가지) 순으로 살펴봅시다. 형태에 따른 분류1. 가변어(可: ~할 수 있다 / 變: 변하다 / 語: 말):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단어 - '먹다'의 경우 '먹으니', '먹어서', '먹고'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가변어입니다. - '예쁘다'의 경우 '예뻐서', '예쁘니'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가변어입니다. ** 서술격 조사 '~이다'의 경우 '학생이다', '학생으로', '학생이지만'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가변어로 보기도 함 2. 불변어(不: ~할 수 없다 / 變: 변하다.. 2024. 7. 7. 안 부정문과 못 부정문의 차이 들어가며어떤 문장의 반대되는 의미를 전달하고 싶을 때 우리는 '안','못'과 같은 낱말을 사용합니다.언제 '안'이나 '못'을 사용해야하는지 간단한 예문과 함께 알아봅시다. 안 부정문, 못 부정문 1. 안 부정문은 주어의 의지로 일이 일어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예) 수진이가 친구와 전화하느라고 청소를 안 했다. 2. 반면 못 부정문은 주어의 의지 밖 요인으로 일이 일어나지 못할 때 사용합니다. 예) 능력 - 아기가 어려서 걷지 못한다. 예) 상황 - 영호가 아파서 축구를 하지 못했다. 참고 안 부정문, 못 부정문 구별법 다시 그 상황에 놓일 때 결과를 바꿀 수 있다면 안 부정문, 바꾸기 어렵다면 못 부정문을 사용합니다. 예) 수진이가 친구와 전화하느라고 청소를 안 했다. → 수.. 2024. 5. 7. 자음군 단순화 자음군 단순화 뜻 자음군 단순화란, 종성의 겹받침이 단순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음절의 종성에는 밥[ㅂ], 콩[ㅇ]처럼 하나의 자음이 올 수도 있지만, 닭[ㄹㄱ], 밟다의 '밟'[ㄹㅂ]처럼 여러 자음이 올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종성(끝소리)에 여러 개의 자음이 놓일 적에는 그 중 하나는 탈락하는데, 이를 자음군 단순화라고 합니다. 예) 닭 [닥] 예) 젊다 [점따] 겹받침 중 앞의 자음이 소리나는 경우 1. 용언의 어간의 끝소리가 'ㄹㄱ'이고 다음 첫소리가 'ㄱ'인 경우 예) 묽고: 기본형이 '묽다'이므로 어간은 '묽-'입니다. '묽고'는 '묽다'의 활용형이고 어미의 첫소리가 'ㄱ'이므로 겹받침 중 'ㄹ'이 소리나는 경우가 됩니다. 따라서 [물꼬]로 발음합니다. 2. 겹받침 'ㄹㅂ' -> [ㄹ] (대부.. 2024. 4. 13. 조음 위치 동화, 조음 방법 동화 1. 조음 위치 동화 가. 조음 위치가 다른 두 소리가 한 소리의 영향으로 조음 위치가 서로 같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나. 표준발음법에서는 조음 위치 동화를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표준발음법 제5장(음의 동화) * (출처: 국립국어원) 제17항(구개음화)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제18항(비음화)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제19항(비음화)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제20항(유음화)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 2024. 4. 1. [국어 문법] 높임법, 높임 표현 총정리 높임 표현 정리 이번 시간에는 우리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높임법(높임 표현)을 학습합니다. 높임 표현은 대상을 고려하여 나타난다는 점에서 우리말의 화용론적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웃어른을 높여 표현하는 기능이 말에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의 특징과 방법을 알아보고, 간접 높임과 압존법 등 높임 표현과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은 내용을 보충해 공부해 봅시다. 1. 주체 높임법: 문장성분 중 주어에 해당하는 대상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예 할아버지께서 장에 가셨습니다. 1) 주격조사를 사용할 수 있음: ~께서 2) 높임 표현을 위한 특별한 낱말을 사용할 수 있음 예 할아버지께서 죽을 잡수셨다. 3) 선어말어미 '-시-'를 사용 예 가셨습니다: 가+ -시- + -었-.. 2024. 3. 18. [자음 분류표] 국어 자음 분류, 자음 체계표 알아보기 국어 자음 분류 국어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음 위치란 소리가 만들어지는 곳으로, 입술, 잇몸, 센입천장(경구개), 여린입천장(연구개), 목청(목구멍)이 있습니다. 조음 방법이란 소리를 만드는 방법으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이 있습니다. (+ 유성음과 무성음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습니다.) 1. 조음 위치 * 입술소리: 두 입술이 닿아 만들어지는 소리 (ㅂ, ㅍ, ㅃ, ㅁ) * 잇몸소리: 혀끝이 윗잇몸 부근에 닿거나 부근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ㄷ, ㅌ, ㄸ, ㅅ, ㅆ, ㄴ, ㄹ) * 센입천장소리: 혀끝이 경구개(윗잇몸 뒤쪽)에 닿아 만들어지는 소리 (ㅈ, ㅊ, ㅉ) 참고 입천장 중 앞쪽은 딱딱하므로 굳을 경(硬) 한자를 사용한 '경구개'라고 부릅니다.. 2024. 2. 2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