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자음 분류
국어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음 위치란 소리가 만들어지는 곳으로, 입술, 잇몸, 센입천장(경구개), 여린입천장(연구개), 목청(목구멍)이 있습니다.
조음 방법이란 소리를 만드는 방법으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이 있습니다.
(+ 유성음과 무성음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습니다.)
1. 조음 위치
* 입술소리: 두 입술이 닿아 만들어지는 소리 (ㅂ, ㅍ, ㅃ, ㅁ)
* 잇몸소리: 혀끝이 윗잇몸 부근에 닿거나 부근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ㄷ, ㅌ, ㄸ, ㅅ, ㅆ, ㄴ, ㄹ)
* 센입천장소리: 혀끝이 경구개(윗잇몸 뒤쪽)에 닿아 만들어지는 소리 (ㅈ, ㅊ, ㅉ)
참고 입천장 중 앞쪽은 딱딱하므로 굳을 경(硬) 한자를 사용한 '경구개'라고 부릅니다.
* 여린입천장소리: 혀 뒷부분이 연구개(입천장 뒤쪽)에 닿아 만들어지는 소리 (ㄱ, ㅋ, ㄲ, ㅇ)
참고 입천장 중 뒷부분은 무르므로 무를 연(軟) 한자를 사용한 '연구개'라고 부릅니다.
* 목청소리: 목 구멍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ㅎ)
2. 조음 방법
* 파열음: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는 소리 (ㅂ, ㄷ, ㄱ, ㅈ, ㅋ)
* 마찰음: 좁은 틈으로 공기를 마찰하여 내는 소리 (ㅍ, ㅌ, ㅊ, ㅅ)
* 파찰음: 파열 후에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 (ㅈ, ㅊ, ㅉ)
* 비음: 코로 공기를 보내어 내는 소리 (ㅁ, ㄴ, ㅇ)
* 유음: 공기의 흐름을 거의 방해하지 않고 내는 소리 (ㄹ)
3. 유성음과 무성음
* 울림소리(유성음): 목청이 떨리면서 나오는 소리로, 국어 자음 중에는 ㄴ,ㄹ,ㅁ,ㅇ 4개가 있음
* 안울림소리(무성음): 울림소리가 아닌 자음
4. 자음 분류표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고려하여 자음 분류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조음위치는 가로,
조음방법은 세로에 놓아 공부합니다. 두 요소에 해당하는 자음이 무엇인지 공부해봅시다.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음 위치 동화, 조음 방법 동화 (0) | 2024.04.01 |
---|---|
[국어 문법] 높임법, 높임 표현 총정리 (1) | 2024.03.18 |
모음 체계표, 한글 모음 종류 - 모음의 분류 (3) | 2023.12.06 |
[낱말의 확장 방법] 합성어, 파생어 / 파생 접미사, 명사형 어미 비교 (0) | 2023.08.24 |
반의 관계 의미, 반의어 종류(등급 반의어, 상보 반의어, 방향 반의어) (0) | 2023.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