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

모음 체계표, 한글 모음 종류 - 모음의 분류

by 온암 2023. 12. 6.

 

들어가며

  모음은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기준에 따른 모음 분류를 알아보고, 모음 분류표를 살펴봅시다.

1. 단모음과 이중모음

  발음할 때 입 모양의 변화를 기준으로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단모음
발음할 때 입 모양이나 혀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 모음
  • 예)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이중 모음
발음할 때 입 모양이나 혀 위치가 변화하는 모음
  • 예) ㅑ, ㅒ, ㅕ, ㅖ, ㅛ, ㅠ, ㅢ, ㅘ, ㅙ, ㅝ, ㅞ

  

표준 발음법

에 따르면, 국어에는 모두 21개의 모음이 있습니다. 그 중 발음할 때 입(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 모음을 단모음, 변화하는 모음을 이중모음이라고 부릅니다.

  예컨대, 모음 'ㅏ'는 발음할 때 입 모양과 혀 위치 모두 변하지 않습니다. 반면 모음 'ㅝ'는 발음할 때 모음 'ㅜ'를 발음할 때 위치에서 'ㅓ'를 발음할 때 위치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ㅏ'는 단모음, 'ㅝ'는 이중모음입니다.

 

2.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모음을 소리낼 때 혀의 높이를 기준으로 단모음을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분류에 따라 입 크기와 혀의 높이가 달라집니다.

고모음
혀를 높게 위치시켜 발음하는 모음으로, 입의 크기가 작음
  • 예) ㅣ, ㅟ, ㅡ, ㅜ
중모음
혀를 중간에 위치시켜 발음하는 모음으로, 입의 크기가 보통
  • 예) ㅔ, ㅚ, ㅓ, ㅗ
고모음
혀를 낮게 위치시켜 발음하는 모음으로, 입의 크기가 큼
  • 예) ㅐ, ㅏ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의 고(高), 중(中), 저(低)는 혀의 높이를 나타냅니다. 혀의 높이가 높으면 높을 고(高)자를 써서 고(高)모음, 혀의 높이가 낮으면 낮을 저(低)자를 써서 저(低)모음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혀의 위치가 낮아질수록 입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습니다. 입의 크기를 비교하면 고모음<중모음<저모음입니다.

  위 표에 기재된 예시 10자(ㅣ,ㅟ,ㅡ,ㅜ/ㅔ,ㅚ,ㅓ,ㅗ/ㅐ,ㅏ)는 순서대로 암기해두면 추후 모음 분류표를 암기할 때 좋습니다. //'키위를주게되었소내가'로 암기

 

3.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혀끝의 앞뒤 위치에 따라 단모음을 전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설 모음
발음할 때 혀끝이 앞에 있는 모음
  • 예) ㅣ, ㅟ, ㅔ, ㅚ, ㅐ
후설 모음
발음할 때 혀끝이 뒤에 있는 모음
  • 예) ㅡ, ㅜ, ㅓ, ㅗ, ㅏ

 

소고기 요리 사진(출처: pixabay.com, 우설 부위와 관계 없음)

 

  소의 특수부위 중 '우설'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소의 혀를 우설이라고 하는데, 요리 프로그램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식재료 우설의 '우(牛)'는 소를, '설(舌)'은 혀를 의미합니다.

  전설 모음은 혀가 앞에 있는 모음을, 후설 모음은 혀가 뒤에 있는 모음입니다. 'ㅏ'를 발음해보면 혀끝이 뒤로 당겨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대로 'ㅐ'를 발음해보면 혀끝이 앞으로 감을 알 수 있습니다.

 

4. 원순 모음, 평순 모음

  마지막으로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둥근지를 기준으로 단모음을 원순 모음과 평순 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순 모음
발음할 때 입술이 둥근 모음
  • 예) ㅟ, ㅜ, ㅚ, ㅗ
평순 모음
발음할 때 입술이 평평한 모음
  • 예) ㅣ, ㅡ, ㅔ, ㅓ, ㅐ, ㅏ

  원순 모음은 입술을 둥글게 만들어 발음하는 모음입니다. 'ㅜ'를 발음해보면 입이 둥급니다. 반면 평순 모음은 입술을 평평하게 만들어 발음하는 모음으로, 'ㅡ'를 발음해보면 입술이 둥글지 않습니다.

 

5. 모음 분류표

  2~4항에서 살펴본 단모음의 분류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혀의 높이: 고모음/중모음/저모음으로 분류

• 혀끝의 위치: 전설 모음/후설 모음으로 분류

• 입술 모양: 원순 모음/평순 모음으로 분류

  이처럼 3가지 분류기준에 맞추어 자음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키위를주게되었소내가' 순으로 암기하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혀의 위치
/
혀의 높이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연습문제

[1~7] 다음 조건에 알맞은 모음자는 무엇인지 답하시오.

1. 고모음, 평순 모음, 후설 모음 →

2. 저모음, 평순 모음, 전설 모음 →

3. 원순 모음, 중모음, 전설 모음 →

4. 고모음, 후설 모음, 원순 모음 →

5. 중모음, 원순 모음, 후설 모음 →

6. 고모음, 전설 모음, 평순 모음 →

7. 고모음, 전설 모음, 원순 모음 →

 

[8~10] 다음 단모음 분류기준에 따라 무엇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답하시오.

8. 입술의 모양 → 원순 모음, 평순 모음

9. 혀끝의 앞뒤 위치 → 전설 모음, 후설 모음

10. 혀의 높이 →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