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관련
1. 교과: 국어
2. 관련 글
관련 글이 없습니다.
■ 임용고사 기출사항
반의 관계 - 2014중등, 2021초등
반의어의 종류 - 2019중등, 2022초등
■ 반의 관계
1. 반의어: 의미가 반대되는 관계에 놓인 단어를 반의어라고 합니다.
2. 의미 자질 분석법을 수행했을 때 하나의 의미 성분에서만 반대인 관계가 반의 관계입니다. 둘 이상의 의미 성분이 반대라면 반의 관계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예) 장끼 - [+꿩] [+새] [+수컷]
예) 까투리 - [+꿩] [+새] [-수컷]
3. 어떤 단어가 주변 의미를 가진다면 하나의 단어에 여러 반의 관계(일대다)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예) 벗다 [-착용] [+머리] 《------》쓰다 [+착용] [+머리]
예) 벗다 [-착용] [+발] 《------》 신다 [+착용] [+발]
위 예시에서 착용이 중심 의미, 머리/발이 주변 의미가 됩니다.
■ 반의어 종류
반의어에는 등급 반의어, 상보 반의어, 방향 반의어가 있습니다.
1. 등급 반의어: 정도에 따라 반의 관계를 가지는 반의어로, 두 망 사이의 여러 정도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두 반의어 사이 중간 상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등급 반의어 예시) 크다 - 작다, 높다 - 낮다
2. 상보 반의어: 동시에 긍정 및 부정을 할 수 없는 반의어로, 의미 영역이 겹치지 않는 반의어를 의미합니다. A와 B가 상보 반의어인 경우 "A가 아니면 B다."가 성립합니다.
상보 반의어 예시) 살다 - 죽다, 있다 - 없다
3. 방향 반의어: 위치가 바뀌면 반의 관계에 놓인 낱말로 바꾸어 나타낼 수 있는 반의어입니다.
은수가 주영이로부터 선물을 받았다. 와
주영이가 은수에게 선물을 주었다. 는 같은 상황입니다. 다만 주어가 누구인지에 따라 주다 또는 받다가 올 수 있습니다. (주다 - 받다는 방향 반의어 관계임)
방향 반의어 예시) 가다 - 오다, 위 - 아래, 오른쪽 - 왼쪽
■ 확인문제
1. 다음과 같이 낱말의 여러 가지 의미성분의 유무를 파악하는 어휘 지도 방법은 무엇입니까?
까투리 - [+꿩] [+새] [-수컷]
답: 의미 자질 분석법
2. 다음 중 반의어의 종류가 다른 하나를 골라 기호를 쓰세요.
ㄱ. 가다-오다 ㄴ. 주다-받다 ㄷ. 살다-죽다 ㄹ. 위-아래
답:ㄷ(ㄷ만 상보반의어, 나머지는 방향반의어)
온암의 생각상자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음 위치 동화, 조음 방법 동화 (0) | 2024.04.01 |
---|---|
[국어 문법] 높임법, 높임 표현 총정리 (1) | 2024.03.18 |
[자음 분류표] 국어 자음 분류, 자음 체계표 알아보기 (0) | 2024.02.26 |
모음 체계표, 한글 모음 종류 - 모음의 분류 (3) | 2023.12.06 |
[낱말의 확장 방법] 합성어, 파생어 / 파생 접미사, 명사형 어미 비교 (0) | 2023.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