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
해석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한다.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
해석 한 마디 말이 사리에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모없다.
口舌者는 禍患之門이요 滅身之斧也이니라
해석 입과 혀는 화해와 우환의 문이고, 몸을 망치는 도끼와 같다.
利人之言은 煖如綿絮하고 傷人之語는 利如荊棘하야 一言半句 重値千金이요 一語傷人에 痛如刀割이니라
해석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함이 솜과 같고 사람을 상하게 하는 말은 날카로움이 가시 같아서 한 마디 말이 사람을 이롭게 함은 무겁기가 천금과 같고 한 마디 말이 사람을 다치게 함은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
口是傷人斧요 言是割舌刀니 閉口深藏舌이면 安身處處牢니라
해석 입은 사람을 해치는 도끼와 같고 말은 혀를 베는 칼과 같으니 입을 막고 혀를 깊이 감추면 몸이 편안하여 어느 곳에서나 편안할 것이다.
逢人且說三分話하되 未可全抛一片心이니 不怕虎生三個口하고 只恐人情兩樣心이니라
해석 사람을 만나거든 말을 삼푼만 하되 자신의 마음을 다 쏟지 말지니 호랑이가 세 번 입을 벌리고 포효함을 두려워 말고, 오직 사람의 마음이 두 모양으로 마음을 쓰는 것을 두려워할지니라.
酒逢知己千鐘少요 話不投機一句多니라
해석 술은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면 천 잔도 적고, 말은 때에 맞게 하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다.
與善人居에 如入芝蘭之室하여 久而不聞其香하되 卽與之化矣요
해석 선한 사람과 같이 거하면 지란이 있는 방안에 들어감과 같아서 오래있으면 그 향기를 알지 못하나 곧 더불어 그 향기가 동화된다.
與不善人居에 如入飽魚之肆하여 久而不聞其臭하되 亦與之化矣니
해석 선하지 못한 사람과 같이 거하면 생선 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있으면 그 나쁜 냄새를 알지 못하나 또한 더불어 동화된다.
丹之所藏者는 赤하고 漆之所藏者는 黑이라
해석 단사를 지니고 있으면 붉어지고 검은 옻칠을 지니고 있으면 검어진다.
是以로 君子는 必愼其所與處者焉이니라
해석 이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함께 있는 사람에 대해 삼간다.
與好人同行에 如霧露中行하여 雖不濕衣라도 時時有潤하고
해석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과 동행한다면 마치 안개나 이슬 속을 가는 것과 같아서 비록 옷을 적시지 않더라도 때때마다 윤택함이 있다.
與無識人同行에 如厠中座하여 雖不汚衣라도 時時聞臭니라
해석 무식한 사람과 동행하면 마치 뒷간에 앉은 것 같아서 비록 옷은 더럽히지 않더라도]} 때때마다 냄새를 맡는다.
晏平仲은 善與人交로다 久而敬之온여
해석 안평중은 사람들과 교제를 잘한다. 오래되었으나 공경한고 있다.
相識이 滿天下하되 知心能幾人고
해석 서로 얼굴을 아는 사람은 온 세상에 많이 있으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은 몇이나 되겠는가.
酒食兄弟는 千個有로되 急難之朋은 一個無니라
해석 술이나 음식을 먹을 때 형이니 동생이니 하는 친구는 매우 많으나, 급하고 어려운 일을 당하였을 때에 도와줄 친구는 하나도 없다.
不結子花는 休要種이요 無義之朋은 不可交니라
해석 열매를 맺지 않는 꽃은 심지 말고 의리 없는 무리는 사귀지 말라.
君子之交는 淡如水하고 小人之交는 甘若醴니라
해석 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가 물 같고, 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가 단술과 같다.
路遙知馬力이요 日久見人心이니라
해석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고 날이 오래 지내야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요 二曰婦容이요 三曰婦言이요 四曰婦工也니라
해석 여자는 네 가지 덕의 기리는 것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이고 둘째는 부용이고 셋째는 부언이고 넷째는 부공이다.
婦德者는 不必才名絶異요 婦容者는 不必顔色美麗요 婦言者는 不必辯口利詞요 婦工者는 不必技巧過人也니라
해석 부덕이라는 것은 재주와 이름이 매우 뛰어날 필요가 없고, 부용이라는 것은 반드시 얼굴이 아름답고 고울 필요가 없고, 부언이라는 것은 반드시 말솜씨가 좋고 말을 잘할 필요가 없고, 부공이라는 것은 반드시 손재주가 다른 사람보다 뛰어날 필요가 없다.
其婦德者는 淸貞廉節하여 守分整齋하고 行止有恥하야 動靜有法이니 此爲婦德也요
해석 그 부덕이라 함은 정조가 순결하며 절개가 곧아 분수를 지키며 몸가짐을 가지런하게 하고 행동에 염치가 있으며 일상에 법도가 있는 것이니 이것이 부덕이요
婦容者는 洗浣塵垢하여 衣服鮮潔하며 沐浴及時하여 一身無穢니 此爲婦容也요
해석 부용이라 함은 먼지나 때를 깨끗이 빨아 옷차림을 정결하게 하며, 목욕을 제 때에 하여 몸에 더러움이 없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부용이요
婦言者는 擇師而說하여 不談非禮하고 時然後言하여 人不厭其言이니 此爲婦言也요
해석 부언이라 함은 본받을 만한 것을 가려 말하고 예의에 어긋나는 말은 하지 않고 알맞은 때가 된 후에 말해서 사람들이 그 말을 싫어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부언이요
婦工者는 專勤紡積하고 勿好暈酒하며 供具甘旨하여 以奉賓客이니 此爲婦工也니라
해석 부공이라 함은 길쌈을 부지런히 하며 술 빚기를 좋아하지 않고 좋은 음식을 갖추어서 빈객을 접대하는 것이니 이것이 부공이다.
此四德者는 是婦人之所不可缺者라 爲之甚易하고 務之在正하니 依此而行이면 是爲婦節이니라
해석 이 네 가지 덕목은 부녀자로서 하나라도 빠질 수 없는 것이니 행하기 매우 쉽고 힘쓰기가 바른데 달려있다. 이를 의지하여 행한다면 부절이다.
婦人之禮는 語必細니라
해석 부인의 예는 대화할 때 반드시 조용히 하여야 한다.
賢婦는 令夫貴요 惡婦는 令夫賤이라
해석 어진 부인은 남편을 귀하게 하고, 악한 부인은 남편을 천하게 만든다.
家有賢妻면 夫不遭橫禍니라
해석 집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그 남편이 뜻밖의 화를 만나지 않느니라.
賢婦는 和六親이요 佞婦는 破六親이니라
해석 어진 부인은 육친을 화목하게 하고, 간악한 부인은 육친의 화목을 깨뜨리느니라.
'한자 공부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해석연습장 #23~25 효행편 속편 염의편 근학편 (0) | 2024.10.02 |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21~22 증보편 팔반가팔수 (1) | 2024.10.01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5-17 치가편 염의편 준례편 (1) | 2024.09.29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3-14 입교편 치정편 (3) | 2024.09.28 |
명심보감 해석연습장 #12 - 성심편(하) (2) | 2024.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