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順이 家貧하여 與其妻로 傭作人家以養母할새 有兒每奪母食이라
해석 손순이 집이 가난하여 그의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 머슴살이를 하여 어머니를 봉양할 때 아이가 있어 늘 어머니께서 잡수시는 것을 빼앗아 먹었다.
順이 謂妻曰兒奪母食하니 兒는 可得이어니와 母難再求라하고
해석 손순이 아내에게 일러 말하길, 아이가 어머니의 드시는 것을 빼앗아 먹으니 아이는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구하기 어렵습니다.
乃負兒往歸醉山北郊하여 欲埋堀地러니 忽有甚寄石鐘이어늘 驚怪試撞之하니 舂容可愛라
해석 곧 아이를 업고 귀취산 북쪽 교외로 가서 묻고자 땅을 팠더니 홀연 심히 특이한 석종이 있거늘 놀랍고 이상하게 여기어 시험삼아 두드려 보니 은은한 종소리가 사랑스러웠다.
妻曰得此奇物은 胎兒之福이라 埋之不可라하니
해석 아내가 말하길, 이 기이한 물건을 얻음은 아마 아이의 복이니 땅에 묻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順이 以爲然하여 將兒與鐘還家하여 縣於樑撞之러니
해석 손순도 그렇게 생각해서 아이와 종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대들보에 달고 그것을 울렸다.
王이 聞鐘聲이 淸遠異常而 覈聞其實하고
해석 임금이 종소리가 맑고 멀리까지 울려 퍼짐을 듣고 이상하게 여겨 그 사실을 자세히 물어서 알고
曰昔에 郭巨埋子엔 天賜金釜러니 今孫順이 埋兒엔 地出石種하니 前後符同이라하고 賜家一區하고 歲給米五十石하니라
해석 말하기를, 옛적에 곽거가 아들을 묻었을 때엔 하늘이 금솥을 주시었더니 지금 손순이 아들을 묻음에는 땅에서 석종이 나왔으니 앞과 뒤가 부절을 맞춘 듯하다 말씀하시고, 집 한 채를 내려주고 해마다 쌀 오십 석을 주었다.
尙德은 値年荒癘疫하야 父母飢病餒死라
해석 상덕은 흉년이 들고 역병이 유행하는 때를 만나서 어버이가 굶주리고 병들어 거의 죽게 되었다.
尙德이 日夜不解衣하고 盡誠安慰하되
해석 상덕이 낮이나 밤이나 옷을 풀지 않고 정성스럽게 위로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였는데
無以爲養 則 刲髀肉食之하고 母發癰에 吮之卽癒라
해석 봉양할 방도가 없으면 넙적다리 살을 베어 드시도록 하고 어머니가 종기가 났을 때 빨아서 곧 낫게 하였다.
王이 嘉之하여 賜賚甚厚하고 命旌其門하고 立石紀事하니라
해석 임금이 가상하게 여겨 매우 후하게 물건을 내려주고 그 집 문에 정려문을 세우게 하고 비석을 세워 이 일을 기록하게 하였다.
都氏 家貧至孝라 賣炭買肉하야 無闕母饌하니
해석 도씨는 집은 가난하나 효행이 지극하였다. 숯을 팔아 고기를 사서 어머니의 반찬에 빠진 적이 없었다.
一日은 於市에 晩而忙歸러니 鳶忽攫肉이어늘 都悲號至家하니 鳶旣投肉於庭이러라
해석 하루는 시장에 갔다가 늦어 바쁘게 돌아오는데 솔개가 고기를 가로채 가니 도씨가 슬프게 울며 집에 돌아와보니 솔개가 이미 고기를 집안 뜰에 던져 놓았다.
一日은 母病索非時之紅柿어늘 都, 彷徨柿林하야 不覺日昏이러니
해석 하루는 어머니가 병이 나서 제철이 아닌 홍시를 찾거늘 도씨가 감나무 숲에서 방황하다 날이 저물은 것도 모르고 있다가
有虎屢遮前路하고 以示乘意라
해석 호랑이가 있어 앞길을 여러 번 가로막으며 타라는 뜻을 나타내었다.
都 乘至百餘里山村하야 訪人家投宿이러니 俄而主人이 饋祭飯而有紅柿라
해석 도씨가 호랑이를 타고 백여 리 되는 산 동네에 이르러 인가를 찾아 잠을 자려고 하였더니 얼마 후 주인이 제사 밥을 주는데 홍시가 있었다.
都, 喜하야 問柿之來歷하고 且述己意한대 答曰亡父嗜柿라 故로 每秋擇柿二百個하야
해석 도씨가 기뻐하여 감의 내력을 묻고 또 자신의 뜻을 말하였더니 대답하여 말하길, 돌아가신 아버지가 감을 즐기었기 때문에 언제나 가을에 감을 이백 개를 가려서
藏諸窟中하여 而至此五月이면 則完者不過七八이라가
해석 모두 굴 속에 저장해 두었다가 이렇게 오월에 이르면 완전한 것이 일곱여덟 개에 지나지 않는데
今得五十個完者故로 心異之러니
해석 올해는 오십 개의 완전한 것을 얻었으므로, 마음 속으로 이상하게 여겼더니
是天感君孝라하고 遺以二十顆어늘
해석 이것은 하늘이 당신의 효심에 감동한 것이라하고 감 스무 알을 내어 주거늘
都謝出門外하니 虎尙俟伏이라 乘至家하니 曉鷄喔喔이러라
해석 도씨가 감사를 표하고 문밖에 나오니 호랑이는 아직도 엎드려 기다리고 있었다. 호랑이를 타고 집에 돌아오니 새벽 닭이 울었다.
後에 母以天命으로 終에 都有血淚러라
해석 뒤에 어머니가 천명으로 돌아가시니 도씨는 피눈물을 흘렸다.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有暑調者 以穀買之而還이러니
해석 인관이 장에서 솜을 파는데 서조가 곡식을 가지고 솜을 사서 돌아가더니
有鳶攫其綿하야 墮印觀家어늘
해석 솔개가 그 솜을 채가 인관의 집에 떨어뜨렸다.
印觀이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라 故로 還汝하노라
해석 인관이 서조에게 돌아가 말하길, 솔개가 그대의 솜을 제 집에 떨어뜨려서 그대에게 돌려주겠습니다.
署調曰 鳶이 攫綿與汝는 天也라 吾何爲受리오
해석 서조가 말하기를, 솔개가 솜을 채가 그대에게 준 것은 하늘이 한 것입니다. 제가 어찌 받겠습니까?
印觀曰 然則還汝穀하리라
해석 인관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그대의 곡식을 돌려주겠습니다.
署調曰 吾與汝者 市二日이나 穀已屬汝矣이라고
해석 서조가 말하기를 제가 그대에게 준 것이 벌써 시장이 선지 이틀이 지났으니 곡식은 이미 그대에게 속하였습니다.
二人이 相讓이라 幷棄於市하니 掌市官이 以聞王하야 竝賜爵하니라
해석 두 사람이 서로 사양하다가 솜과 곡식을 함께 시장에 버렸다. 시장을 담당하는 관원이 이 사실을 임금께 아뢰어서 모두 벼슬을 주었다.
洪基燮이 少貧甚無聊러니
해석 홍기섭이 젊었을 때 심히 가난하여 매우 무료하였는데
一日朝에 婢兒踊躍獻七兩錢曰 此在鼎中하니 米可數石이요 柴可數駄니 天賜天賜니다
해석 어느날 아침 어린 여종이 기쁜 듯이 뛰어와 돈 일곱 냥을 바치며 말하길, 이것이 솥 속에 있었습니다. 쌀이라면 몇 섬을 살 수 있고, 나무라면 몇 바리를 살 수 있습니다. 참으로 하늘이 주신 것입니다.
公驚曰 是何金고 卽書失金人推去等字하야 付之門梶而待러니
해석 공이 놀라 말하길, 이것이 어찌된 돈인가? 하고 돈 잃은 사람은 와서 찾아 가라는 등의 글을 써 대문 문설주에 붙이고 기다렸다.
俄而姓劉者 來問書意어늘
해석 얼마 후 유라는 사람이 찾아와 글의 뜻을 물었다.
公悉言之한대 劉曰 理無失金於人之鼎內하니 果天賜也라 蓋取之닛고
해석 공이 모든 것을 말해주었다. 유가 말하길, 이치상 남의 솥 안에 돈을 잃을 리 없습니다. 과연 하늘이 주신 것입니다. 왜 취하지 않으시는 것입니까?
公曰非吾物에 何오 劉俯伏曰小的이 昨夜에 爲竊 鼎來가라 還憐家勢蕭條而施之러니 今感公之廉价하고 良心自發하야 誓不更盜하고 願欲常待하나니 勿慮取之하소서
해석 공이 말하길, 나의 물건이 아닌데 어찌 가질 것인가? 유가가 꿇어 엎드리며 말하되, 소인이 어젯밤 솥을 훔치러 왔다가 도리어 집안 형편이 너무 쓸쓸한 것을 불쌍히 여겨 놓고 돌아 갔더니 지금 공의 청렴함에 감동하고 양심이 저절로 우러나와 도둑질을 다시는 하지 않고, 항상 옆에 모시기를 원합니다. 걱정 마시고 갖기를 바랍니다.
公卽還金曰汝之爲良則善矣나 金不可取라 終不受러라
해석 공이 돈을 돌려주며 말하기를, 네가 양인이 된 것은 참 좋으나 이 돈은 가질 수 없다하며 끝내 받지 않았다.
後에 公이 爲判書하고 其子在龍이 爲憲宗國舅하며 劉亦見信 身家大昌하니라
해석 뒤에 공은 판서가 되고 그의 아들 재룡이 현종의 국구가 되었으며, 유가도 또한 신임을 얻어 자신과 집안이 크게 번영하였다.
高句麗平原王之女 幼時에 好啼러니 王戱曰 以汝로 將歸愚溫達하리라
해석 고구려 평원왕의 딸이 어렸을 때 울기를 좋아하니 왕이 놀리며 말하기를, 너는 장차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리라 하였다.
及長에 欲下嫁于上部高氏 한대 女以王不可食言이라하여 固辭 하고 終爲溫達之妻 하니라
해석 딸이 자라 상부 고씨에게 시집을 보내려고 하니 딸이 임금으로서 말을 주워담을 수 없다 하고 사양하고 마침내 온달의 아내가 되었다.
蓋溫達 이 家貧하여 行乞養母 하니 時人이 目爲愚溫達也 러라
해석 아마도 온달은 집이 가난하여 돌아다니며 구걸하여 어머니를 섬기니 당시 사람들이 지목하여 바보 온달이라고 한 듯하다
一日 은 溫達 이 自山中 으로 負楡皮而來 하니 王女 訪見曰 吾乃子之匹也 라하고
해석 하루는 온달이 산 속에서 느티나무 껍질을 짊어지고 돌아오니 임금의 딸이 찾아와 만나서 말하길, 나는 바로 그대의 아내입니다 하고
乃賣首飾 하여 而買田宅器物頗富 하고
해석 곧 머리 장식을 팔아 밭과 집과 기물을 넉넉하게 사고
多養馬以資溫達 하여 終爲顯榮 하니라
해석 많은 말을 길러 온달을 도와 마침내 현달하여 영화롭게 되었다.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하며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하라 日月逝矣 나 歲不我延이니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해석 오늘 배우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여기지 말며, 올해 배우지 않고 내년이 있다고 여기지 말라. 날과 달은 흘러가지만 나를 위해서 기다리지 않는다. 아 늙었도다! 이것은 누구의 허물인가.
少年은 易老하고 學難成하니 一寸光陰이라도 不可輕하라
해석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짧은 시간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
未覺池塘에 春草夢인대 階前梧葉이 已秋聲이라
해석 못가의 봄풀은 꿈 중에 있는데 섬돌 앞의 오동나무 잎는 벌써 가을 소리를 낸다.
盛年은 不重來하고 一日은 難再晨이니 及時 當勉勵하라 歲月은 不待人이니라
해석 젊었을 때는 두 번 오지 아니하고 하루에 새벽이 두 번 있지 않으니 때에 미치어 마땅히 학문에 힘써야 한다.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不積蹞步면 無以至千里요 不積小流면 無以成江河니라
해석 반걸음을 쌓아놓지 않으면 천 리에 이르지 못하고 작은 지류가 모이지 않으면 강하를 이루지 못할 것이다.
'한자 공부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21~22 증보편 팔반가팔수 (1) | 2024.10.01 |
---|---|
명심보감 해석연습장 #18~20 언어편 교우편 부행편 (2) | 2024.09.30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5-17 치가편 염의편 준례편 (1) | 2024.09.29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3-14 입교편 치정편 (3) | 2024.09.28 |
명심보감 해석연습장 #12 - 성심편(하) (2) | 2024.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