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교과교육론&모형

초등임용) 미술과 교수학습모형 단계별 활동 온라인암기장

by 온암 2025. 2. 15.

미술 모형 단계별 세부사항 온라인암기장

 

미술  귀납적 사고법

1. 문제 인식

   - 제시된 자료를 통해 문제를 파악함

   - 자료는 학습자의 기존 사고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고 학습 동기/의욕을 높일 수 있어야 함

2. 관계 탐색

   - 학습 문제와 관련해 제시된 자료를 자유롭게 탐색

   - 가능한 다양한 관찰/탐색의 기회를 제공

   - 학습 주제에 대한 생각을 다른 학생과 대화를 통해 정교화

3. 개념 발견

   - 관찰/탐색을 통해 상호 관계를 찾고 규칙성을 발견

   - 개념언어를 통해 형성 → 용어정의하여 추상 개념을 언어화할 수 있도록 함

4. 개념 적용

   - 형성된 개념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응용; 실생활이나 표현 활동에 적용하도록 함

5. 정리 및 발전

   - 학습 과정을 반성하는 과정; 학습한 개념을 삶에 의미 있게 응용

 

미술  창의적 문제 해결법

1. 문제 인식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문제를 검토

2. 아이디어 탐색

   -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함

3. 아이디어 정교화

   - 스케치 등의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시각화

   - 여러 가지 아이디어 중 최선의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보완함

4. 아이디어 적용

   - 정교화된 아이디어를 표현 활동적용하는 과정

5. 종합 및 재검토

   - 아이디어가 문제를 잘 해결하였는지 감상/분석

   - 다른 선택이나 새로운 가능성이 있는지 생각함

 

미술  반응 중심 학습법

1. 반응 형성

   - 시각적/미적 대상과 현상을 탐색하면서 학생의 경험/지식과 연결하는 단계; 학생의 반응 형성을 유도

2. 반응 명료화

   - 질문, 토의, 반성 등의 방법으로 교사 및 다른 학생과 상호 작용하여 반응을 명료화

3. 반응 심화

   - 관련 작품을 탐색하거나 새로운 시각으로 대상이나 현상을 재탐색(재파악)함

   - 표현 활동과 연계하여 반응 심화 활동을 함

4. 정리 및 발전

   - 학습자의 미술적 반응에 대한 뜻/가치를 부여

   - 미술적 체험의 확대/심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

 

미술  직접 교수법

1. 문제 인식

   - 학습 목표, 제재, 성취 수준등을 알려주고 동기 유발

2. 설명 및 시범

   - 교사가 학습 과제, 수행 방법을 설명하거나 시범을 보임

3. 질의응답

   - 학생에게 질의/응답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

   - 질의/응답을 생각하고 연습 활동 단계에서 관찰을 통해 확인 및 피드백 가능

4. 연습 활동

   - 이해한 학습 내용을 연습; 쉬운 단계에서 어려운 단계로

5. 작품 제작

   - 단계별 학습을 통해 습득한 표현 재료용구, 표현 방법 등을 활용해 작품 제작

6. 정리 및 발전

   - 작품을 완성해 정리하는 단계

   - 제작 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설명 및 시범, 연습 활동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