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자겸의 난, 서경천도운동 정리 이자겸의 난, 서경천도운동 정리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참고 고려 중기는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집권기로 왕의 업적보다는 그 시기 있었던 사건 및 인물을 위주로 학습하기를 권장합니다. 문벌 귀족 사회•문벌 귀족: 대대로 주요 관직을 차지한 집안으로, 문벌끼리 또는 왕실과 혼인함•경원 이씨의 경우 11대 문종부터 17대 인종까지 혼인 관계를 이어옴 //대표적 인물: 이자겸•과거 이외에도 음서(시험을 보지 않고 아버지가 고위급 관리였으면 등용하는 제도)를 통해 정계에 진출함 이자겸의 난 (1126)•고려 인종 시기 외척 가문이었던 이자겸이 권력을 독점함•인종이 이자겸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실패함•이자겸과 척준경이 왕을 유폐시키고 많은 군.. 2024. 11. 18.
고려의 중앙정치조직, 지방행정제도, 군사제도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지방 행정 제도, 군사 제도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2성 6부제를 채택 + 고려의 독자적인 조직으로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이 있었음•고려의 독자적인 조직     (1) 도병마사: 재상들이 모여 변경의 군사 문제를 논의; 고려 후기에 도평의사사로 변모 //대한민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느낌?     (2) 식목도감: 새로운 법을 제정하거나 격식을 결정함 //대한민국의 국회 느낌?      참고 도병마사와 식목도감 모두 양부재추(兩府宰樞) 회의로, 양부(중서문하성, 중추원)에서 각각 재신과 추밀이 참여•2성: 중서문하성, 상서성     (1) 중서문하성: 고려시대 최고의 정무기관; 당.. 2024. 11. 17.
고려 전기 왕과 주요 업적을 알아볼까요 고려 전기 왕과 주요 업적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태조(왕건) (918~943)• 민생 안정 정책: 구휼 목적으로 흑창을 설치함, 조세를 10%로 줄임• , , 를 저술해 고려의 가이드라인 마련• 청천강에서 영흥에 이르는 지역까지 영토를 넓힘• 발해 유민에게는 우호적, 거란에게는 비우호적 태도로 접근 //거란이 선물로 보낸 낙타를 굶겨죽임• 호족 회유 정책과 견제 정책을 동시에 시행함     (1) 호족 회유 정책: 호족 세력의 딸과 결혼함, 사성 정책(왕씨 성을 하사함), 후삼국 통일의 공적이 있는 자에게 역분전을 지급     (2) 호족 견제 정책: 기인 제도(호족의 자제를 수도에 머물게 함), 사심관 제도(지방에 살던 관리가.. 2024. 11. 16.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불안정한 후기 통일 신라• 호족의 등장: 지방 세력의 힘이 커지면서 독자적인 군사력과 행정력을 행사하는 호족이 등장함 //호족 출신인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 호족은 불교 사상 중 선종을 받아들여 성장함• 경덕왕 시기(757) 녹읍이 부활하고 왕권이 약화함• 혜공왕(780)이 반란 중 피살당함참고 혜공왕이 난 중에 피살되다夏四月, 上大䓁金良相與伊飡敬信擧兵, 誅志貞䓁, 王與后妃, 爲亂兵所害. 良相䓁謚王爲惠恭.- [삼국사기]해석) 여름 4월, 상대등 김양상이 이찬 경신(원성왕)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김)지정 등을 죽였으나 왕과 왕비가 반란군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김양상 등이 왕의 시호를 혜공이라 지었다. * 爲...所~: ...에게 ~를 당하다 ** 원문을 통해 원성왕이 혜공왕 다.. 2024. 11. 15.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발해 요점정리 통일 신라, 발해의 주요 왕과 업적 통일 신라의 주요 왕과 업적/사건• 태종 무열왕: 648년 진덕여왕 시기 나/당 동맹을 결성함, 진골 출신 첫 왕• 문무왕: 매소성/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당나라를 몰아내고 삼국을 통일함• 신문왕    (1) 진골 세력 견제: 김흠돌의 난을 진압함,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을 지급함, 상수리 제도 //지방 귀족 세력 인원을 수도에서 근무하게 한 제도     (2) 집사부를 두어 중앙 행정 조직을 정비함 //집사부의 장관인 시중(중시)의 권한이 강해짐    (3) 9주(지금의 '도'와 비슷한 행정 기능) 5소경(지금의 광역시와 비슷한 기능; 지방 발전에 기여)을 두어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함    (4) 국학을 세워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씀    (5) 군사 조직으로 9.. 2024. 11. 14.
가야의 등장과 멸망 가야의 등장과 멸망 금관가야(전기 가야 연맹)•전기 가야 연맹의 중심지 기능을 함•수로왕이 가야를 세운 것으로 전해짐•현재의 김해 지역으로, 철을 많이 생산하여 낙랑/왜 등에 수출함•고구려 광개토태왕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 → 대가야로 중심지가 이동 //세력이 약화한 것이지 금관가야가 멸망한 것은 아님!•신라 법흥왕 시기 멸망관련 문화유산(유물) 철제 판금옷 대가야(후기 가야 연맹)•현재의 고령 지역으로, 금관가야가 쇠퇴하자 후기 가야 연맹의 중심지로 기능 //고령 지역이 김해에서 서북쪽(내륙 방향)에 위치•신라 진흥왕 시기에 멸망 //진흥왕이 이사부에게 명령하여 대가야 공격 명령참고 가야가 토기 기술을 전파하며 일본 스에키 토기에 영향 퀴즈로 복습하기1. 금관가야는 현재의 (?)지역, 대가야는 현재의 .. 2024.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