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이자겸의 난, 서경천도운동 정리
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참고 고려 중기는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집권기로 왕의 업적보다는 그 시기 있었던 사건 및 인물을 위주로 학습하기를 권장합니다.
문벌 귀족 사회
•문벌 귀족: 대대로 주요 관직을 차지한 집안으로, 문벌끼리 또는 왕실과 혼인함
•경원 이씨의 경우 11대 문종부터 17대 인종까지 혼인 관계를 이어옴 //대표적 인물: 이자겸
•과거 이외에도 음서(시험을 보지 않고 아버지가 고위급 관리였으면 등용하는 제도)를 통해 정계에 진출함
이자겸의 난 (1126)
•고려 인종 시기 외척 가문이었던 이자겸이 권력을 독점함
•인종이 이자겸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실패함
•이자겸과 척준경이 왕을 유폐시키고 많은 군사를 죽임
•인종이 척준경을 회유, 이자겸을 유배시킴 //이자겸 유배 후 척준경 축출
참고 이자겸의 난은 왕권이 취약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임과 동시에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를 야기
서경 천도 운동 (1127~1135)
•고려 인종 시기 고려 수도를 서경(지금의 평양)으로 옮지가는 서경파와 개경을 유지하자는 개경파가 대립 //천도는 왕권 강화과 밀접한 관계 ex)장수왕의 평양성 천도
•서경파: 서경으로 수도를 옮길 것을 주장
- 대표적 인물: 묘청, 정지상(척준경의 탄핵을 주도한 인물)
- 불교 사상(묘청이 승려 출신), 풍수지리사상(지리도참설 - 지리를 통해 미래를 예언하는 미신)
- 칭제건원(스스로 황제를 칭하여 연호를 세움), 금국정벌론(금나라를 공격하여 정벌할 것을 주장)
•개경파: 개경으로 수도를 유지할 것을 주장
- 대표적 인물: 김부식 //삼국사기를 집필한 인물
- 유교 사상
- 인종의 서경 행차 반대
- 금국정벌론 반대, 금의 사대요구 수용 주장
•묘청의 난(1135): 묘청이 무력을 사용하여 서경으로 천도하고자 반란을 일으킴 → 김부식을 사령관으로 한 관군에게 진압
참고 묘청이 서경에서 난을 일으키다
妙淸 柳旵與分司侍郞 趙匡等, 以西京叛. 矯制, 囚留守員僚. ...(중략)... 遣兵斷岊嶺道, 又遣人劫發諸城兵, 國號大爲, 建元天開 - [고려사절요]
해석) 묘청과 유참이 분사시랑 조광 등과 함께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왕의 명령을 거짓으로 고쳐 유수 (留守: 고려 시대에 동경/서경/남경에 두어 다스리게 한 벼슬)와 관리들을 가두었다. 군사를 보내어 절령도를 차단하고 사람을 보내어 여러 성의 군사들을 겁주어 징발하고 국호를 대위, 연호를 천개라 하였으며...
퀴즈로 복습하기
1. 고려 인종 시기에 대대로 주요 관직을 차지한 집안으로 왕실과 혼인하여 권력을 유지한 세력은?
정답: 문벌 귀족
2. 문벌 귀족은 과거 이외에도 (?)를 통해 정계에 진출하기도 하였다.
정답: 음서(제)
3. 묘청, 정지상 등 서경파의 주장 중 스스로 황제를 칭하여 연호를 세우라는 내용을 4글자로 하면?
정답: 칭제건원
4. 1135년 (?)이 무력을 사용하더라도 서경으로 천도하고자 반란을 일으켰다. 이때 조정은 (?)을 사령관으로 한 관군을 보내 진압하였다.
정답: 묘청, 김부식
'기타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원간섭기와 공민왕의 개혁 (0) | 2024.11.22 |
---|---|
무신정변, 무신집권기 정리 (0) | 2024.11.19 |
고려의 중앙정치조직, 지방행정제도, 군사제도 (4) | 2024.11.17 |
고려 전기 왕과 주요 업적을 알아볼까요 (3) | 2024.11.16 |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 (0) | 2024.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