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공부

고려 원간섭기와 공민왕의 개혁

by 온암 2024. 11. 22.

온암의 생각상자

고려 원간섭기와 공민왕의 개혁

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원 간섭기 정치적/사회적 변화

권문세족의 등장: 원 간섭기 주요 관직을 독점한 귀족 가문

•원나라가 동녕총관부, 탐라총관부, 쌍성총관부 설치하며 영토 상실 //동녕, 탐라는 충렬왕 때 반환되었고, 쌍성총관부는 공민왕 시기 공격하여 되찾음

•원나라 군대를 물리는 대신 다루가치를 보내 내정 간섭

정동행성 설치: 征東行省, 해석하면 동쪽을 정복하기 위해 세운 관청; 일본 정벌 목적으로 설치한 관청이나 실패하고 고려 내정 간섭을 위한 기구로 변모 //(사위를 의미하는 한자 부마를 사용하여) 고려는 원의 '부마국'이 됨

•고려 왕이 원나라 공주와 혼인

•변발이나 연지 등 원나라의 풍속이 유입

 

충렬왕 (1274~1308)

•국자감을 성균감(추후 성균관)으로 개칭함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함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고려 인종(문벌귀족사회) 시기, 삼국유사는 원간섭기

•동녕총관부와 탐라총관부를 돌려받음

 

충선왕 (1298~1325)

•문서 관리/왕명 출납, 인사를 담당하는 사림원을 설치함

 

공민왕 (1352~1374)

•유인우, 이자춘 등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수복함

•정방을 폐지하고 신진사대부를 등용함

•당시 권문세족 중 권력이 막강했던 기철을 처형함

•원나라의 복식과 같은 몽골풍을 금지함

•정동행성 이문소를 철폐함

•신돈을 등용하여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이 부당하게 차지한 토지를 조사하여 돌려줌 //신흥무인세력 성장

•홍건적과 왜구 침입으로 혼란

•공민왕 말년 폭정 → 환관 최만생이 처형당할까 두려워 공민왕 시해

 

퀴즈로 복습하기

1. 공민왕은 신돈을 등용하여 (?)을 설치하였다.

정답: 전민변정도감

2. 동녕총관부와 탐라총관부는 (?) 시기에, 쌍성총관부는 (?) 시기에 수복하였다.

정답: 충렬왕, 공민왕

3. 원나라는 군대를 물리는 대신 (?)를 보내 내정을 간섭하였다.

정답: 다루가치

4. 공민왕은 권문세족 중 권력이 막강했던 원나라 황후의 오라버니인 (?)을 처형하였다.

정답: 기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