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추구집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6

by 온암 2024. 7. 26.

* 추구집-26

花落以前春 화락이전춘
꽃이 떨어지기 전이 봄이고
山深然後寺 산심연후사
산이 깊어진 뒤에 절이 있다
山外山不盡 산외산불진
산 밖에 산이 있어 다하지 아니하고
路中路無窮 노중로무궁
길 가운데 길이 있어 끝이 없다

참고 山外山不盡과 같은 의미의 사자성어: 첩첩산중(疊疊山中)

 

 

* 추구집-27

日暮蒼山遠 일모창산원
해가 저무니 푸른 산이 멀어보이고
天寒白屋貧 천한백옥빈
날씨가 차니 초가집이 쓸쓸하다
小園鶯歌歇 가원앵가헐
작은 동산(=소원궁)엔 꾀꼬리 노래가 쉬고
長門蝶舞多 장문접무다
커다란 문(=장문궁)엔 나비들 춤이 많다

참고 歇: 쉴 헐

 

 

* 추구집-28

風窓燈易滅 풍창등이멸
바람 부는 창문엔 등불이 꺼지기 쉽고
月屋夢難成 월옥몽난성
달빛 드는 집에는 꿈 이루기 어렵다
日暮鷄登塒 일모계등시
해가 저무니 닭은 닭장에 들고
天寒鳥入簷 천한조입첨
날씨가 차가우니 새가 처마로 든다

참고 塒는 '홰 시'로, '홰'란 닭이 올라가 쉬는 장대를 말합니다.

 

 

* 추구집-29

野曠天低樹 야광천저수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보다 낮아지고
江淸月近人 강청월근인
강물이 맑으니 달이 사람을 가까이 한다
風驅群飛雁 풍구군비안
바람은 떼지어 나는 기러기를 몰고
月送獨去舟 월송독거주
달은 홀로 가는 배를 보낸다

참고 驅: 몰 구

 

 

* 추구집-30

細雨池中看 세우지중간
가랑비는 못 가운데서 볼 수 있고
微風木末知 미풍목말지
가는 바람은 나무 끝에서 알 수 있다
花笑聲未聽 화소성미청
꽃이 웃어도 소리는 들리지 않고
鳥啼淚難看 조제루난간
새가 울어도 눈물은 보기 어렵다

참고 啼: 울 제

 

 


연습문제

* 추구집-26연습

花落以前春 화락이전춘
꽃이 떨어지기 전이 봄이고
山深然後寺 산심연후사
산이 깊어진 뒤에 절이 있다
山外山不盡 산외산불진
산 밖에 산이 있어 다하지 아니하고
路中路無窮 노중로무궁
길 가운데 길이 있어 끝이 없다

 

 

* 추구집-27연습

日暮蒼山遠 일모창산원
해가 저무니 푸른 산이 멀어보이고
天寒白屋貧 천한백옥빈
날씨가 차니 초가집이 쓸쓸하다
小園鶯歌歇 가원앵가헐
작은 동산(=소원궁)엔 꾀꼬리 노래가 쉬고
長門蝶舞多 장문접무다
커다란 문(=장문궁)엔 나비들 춤이 많다

 

 

* 추구집-28연습

風窓燈易滅 풍창등이멸
바람 부는 창문엔 등불이 꺼지기 쉽고
月屋夢難成 월옥몽난성
달빛 드는 집에는 꿈 이루기 어렵다
日暮鷄登塒 일모계등시
해가 저무니 닭은 닭장에 들고
天寒鳥入簷 천한조입첨
날씨가 차가우니 새가 처마로 든다

 

 

* 추구집-29연습

野曠天低樹 야광천저수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보다 낮아지고
江淸月近人 강청월근인
강물이 맑으니 달이 사람을 가까이 한다
風驅群飛雁 풍구군비안
바람은 떼지어 나는 기러기를 몰고
月送獨去舟 월송독거주
달은 홀로 가는 배를 보낸다

 

* 추구집-30연습

細雨池中看 세우지중간
가랑비는 못 가운데서 볼 수 있고
微風木末知 미풍목말지
가는 바람은 나무 끝에서 알 수 있다
花笑聲未聽 화소성미청
꽃이 웃어도 소리는 들리지 않고
鳥啼淚難看 조제루난간
새가 울어도 눈물은 보기 어렵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