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9. 교우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子曰 與善人居에 如入芝蘭之室하여 久而不聞其香하되 卽與之化矣요 해석  공자가 말하길, 착한 사람과 같이 거하면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안에 들어감과 같아서 오래도록 그 냄새를 알지 못하나 곧 더불어 그 향기가 동화되고,참고  芝蘭: 지초와 향초; 모두 향초, 聞은 ‘냄새를 맡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與不善人居에 如入飽魚之肆하야 久而不聞其臭하되 亦與之化矣니 해석  착하지 못한 사람과 같이 거하면 생선 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 그 나쁜 냄새를 알지 못하나 또한 더불어 동화되니참고  肆는 ‘가게’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2024. 6. 24.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7. 존심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子曰 居家有禮故로 長幼辨하고 閨門有禮故로 三族和하고 朝廷有禮故로 官爵序하고 田獵有禮故로 戎事閑하고 軍旅有禮故로 武功成이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기를, 집안에 예가 있으므로 어른과 어린이가 분별이 있고, 안방에 예가 있으므로 삼족이 화목하고, 조정에 예가 있으므로 관등의 차례가 있고, 밭에서 사냥하는데 예가 있으므로 수렵에 때가 있으며, 군대에 예가 있으므로 무공이 이루어 진다고 하였다.참고  戎事(융사): 군사일, 활 쏘는 일, 사냥의 의미로 해석   子曰 君子 有勇而無禮면 爲亂하고 小人이 有勇而無禮면 爲盜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군자가.. 2024. 6. 22.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6. 안의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顔氏家訓에 曰 夫有人民而後에 有夫婦하고 有夫婦而後에 有父子하고 有父子而後에 有兄弟하니 一家之親은 此三者而已矣라 自玆以往으로 至于九族이 皆本於三親焉故로 於人倫에 爲重也니 不可無篤이니라 해석  안씨 가훈에 이르길, 무릇 백성이 있은 뒤에 부부가 있고 부부가 있은 뒤에 부자가 있고 부자가 있은 뒤에 형제가 있으니 한 집의 친함은 이 세 가지 뿐이다. 여기서 나아가 구족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이 세 가지 친함(삼친)에 근본한다. 그러므로 인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니 돈독하게 아니할 수 없다고 하였다.참고  玆: 이 자; 지시대명사 ‘이것’으.. 2024. 6. 21.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5. 치가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司馬溫公이 曰 凡諸卑幼事無大小이요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 해석  사마온공이 말하길, 무릇 손아래 사람들은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지 말고 반드시 집안 어른께 여쭈어 보고서 해야 한다고 하였다.   待客에 不得不豊이요 治家에 不得不儉이니 해석  손님 접대는 풍성하게 하지 않을 수 없고 살림살이는 검소하지 않을 수 없으니   太公이 曰 痴人은 畏婦고 賢女는 敬夫니 해석  태공이 말하길,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한다고 하였다.   奴僕에 先念飢寒이니 해석  무릇 노복을 부리는데는 먼저 그들의.. 2024. 6. 20.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4. 치정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明道先生이 曰 一命之士 苟 有存心於愛物이면 於人에 必有所濟니라 해석  명도선생이 말하길,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물건을 사랑하는데 마음을 쓴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받는 바가 있다고 하였다.참고  於人는 ‘남에게’로 해석합니다.   唐太宗御製에 云 上有麾之하고 中有乘之하고 下有附之하여 해석  당태종어제에 이르길, 위에는 지시하는 이가 있고 중간에는 그것에 의하여 다스리는 관원이 있고 그 아래에는 그것에 따르는 백성이 있다.참고  麾: 대장기 휘   幣帛衣之요 倉稟食之하니 爾俸爾祿이 民膏民脂니라 下民은 易虐이어니와 上蒼은 .. 2024. 6. 19.
명심보감 원문 해석 - 9. 근학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子曰 博學而篤志하고 切問而近思면 仁在其中矣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널리 배우고 뜻을 두텁게 하며, 간절히 묻고 잘 생각하면, 어짊이 그 안에 있다고 하였다.참고  切은 '간절하게'로 해석함   莊子曰 人之不學은 如登天而無術하고 學而智遠이면 如披祥雲而覩靑天하고 登高山而望四海니라 해석  장자가 말하길,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재주 없이 하늘에 오르는 것과 같고, 배워서 지혜가 멀면 상서로운 구름을 헤치고 푸른 하늘을 보며 산에 올라 사해를 바라보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참고 覩: 볼 도   禮記에 曰 玉不琢이면 不成器하고 人不學이면 不知義니라.. 2024.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