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1) 편제
가)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나)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
다) 선택 교과는 한문, 환경, 생활 외국어(생활 독일어, 생활 프랑스어, 생활 스페인어, 생활 중국어, 생활 일본어, 생활 러시아어, 생활 아랍어, 생활 베트남어), 보건, 진로와 직업 등의 과목으로 한다.
라)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자치 활동, 동아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2) 시간 배당 기준
구 분 | 1~3학년 | |
교과(군) | 국어 | 442 |
사회(역사 포함)/도덕 | 510 | |
수학 | 374 | |
과학/기술가정/정보 | 680 | |
체육 | 272 | |
예술(음악/미술) | 272 | |
영어 | 340 | |
선택 | 170 | |
소계 | 3,060 | |
창의적 체험활동 | 306 | |
총 수업 시간 수 | 3,366 |
① 1시간 수업은 45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학교 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②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3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총 수업 시간 수는 3년간의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정보는 정보 수업 시수와 학교자율시간 등을 활용하여 68시간 이상 편성/운영한다.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 학교는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수업 시수를 학년별, 학기별로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
가) 학교는 학생이 3년간 이수해야 할 교과목을 학년별, 학기별로 편성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안내한다.
나)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는 기준 수업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운영할 수 없다.
다) 학교는 학생의 학업 부담을 적정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기당 이수 교과목 수를 8개 이내로 편성한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 및 선택 과목과 학교자율시간에 편성한 과목은 이수 교과목 수 제한에서 제외하여 편성할 수 있다.
라) 학교는 선택 과목을 개설할 경우, 2개 이상의 과목을 동시에 개설하여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한다. 학교는 필요한 경우 새로운 선택 과목을 개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도 교육감이 정하는 지침에 따라 사전에 필요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마)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을 학생들의 발달 수준, 학교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한다.
2) 학교는 모든 학생의 학습 기회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가) 전입 학생이 특정 교과목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 시/도 교육청과 학교에서는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충 학습 과정 등을 제공한다.
나) 교과목 개설이 어려운 소규모 학교, 농산어촌학교 등에서는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온라인 활용 및 지역 내 교육자원 공유/협력을 활성화한다. 이 경우 시/도 교육감이 정하는 지침에 따른다.
다) 학교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해 필요한 경우 교과(군)별 증감 시수를 활용하여 ‘점자’, ‘시각장애인 자립생활’ 또는 ‘수어’, ‘농인의 생활과 문화’를 창의적 체험활동에 포함하여 운영한다.
라) 특수학교에서는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을 위해 [별책 2]에 제시된 별도의 교육과정을 활용할 수 있다.
⦁ 시각장애: 체육, 미술, 점자, 시각장애인 자립생활
⦁ 청각장애: 국어, 수어, 농인의 생활과 문화
⦁ 지체장애: 체육
3) 학교는 지역과 연계하거나 다양하고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학교자율시간을 편성/운영한다.
가) 학교자율시간을 활용하여 이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교과목 외에 새로운 선택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나) 학교자율시간에 개설되는 과목의 내용은 지역과 학교의 여건 및 학생의 필요에 따라 학교가 결정하되, 학생의 선택권을 고려하여 다양한 과목을 개설/운영한다.
다) 학교자율시간은 학교 여건에 따라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교과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 시간의 학기별 1주의 수업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한다.
4) 학교는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미래에 대해 탐색하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자유학기와 진로연계교육을 편성/운영한다.
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는 자유학기로 운영하되, 해당 학기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자유학기 취지에 부합하도록 편성/운영한다.
(1) 자유학기에는 지역 및 학교 여건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학생 참여 중심의 주제선택 활동과 진로 탐색 활동을 운영한다.
(2) 자유학기에는 토의/토론 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 참여형 수업을 강화하고,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되, 일제식 지필 평가는 지양한다.
나) 학교는 상급 학교(학년)로 진학하기 전 학기나 학년의 일부 시간을 활용하여 학교급 간 연계 및 진로 교육을 강화하는 진로연계교육을 편성/운영한다.
(1) 학교는 고등학교 생활 및 학습 준비, 진로 탐색, 진학 준비 등을 위해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진로연계교육을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2) 학교는 진로연계교육의 중점을 학생의 역량 함양 및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교과별 내용 및 학습 방법 등의 학교급 간 연계를 통해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한다.
(3) 학교는 진로연계교육을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 활동 및 자유학기의 활동과 연계하여 운영한다.
5) 학교는 학생들이 삶 속에서 스포츠 문화를 지속적으로 향유하여 건전한 심신 발달과 정서 함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편성/운영한다.
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으로 매 학기 편성하며, 학년별 연간 34∼68시간(총 136시간) 운영한다.
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시간은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의 20% 증감 범위를 고려하여 확보하거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를 순증하여 확보한다. 학교 여건에 따라 연간 68시간 운영하는 학년에서는 34시간 범위 내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체육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종목과 내용은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하여 학교가 결정하되, 다양한 종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특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임용 총론 온라인암기장) 고등학교 편제와 시간 배당기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 2022개정 교육과정 (1) | 2025.05.13 |
---|---|
초특 2022개정 총론 온라인암기장 - 공통 교육과정 편성/운영 > 초등학교 (1) | 2025.04.26 |
(특수임용 온라인암기장) 초중등 특수총론 >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 기본 사항 (1) | 2025.04.24 |
(2022개정) 초/중등학교 특수교육과정 총론 온라인암기장 -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2) | 2025.04.23 |
(유아특수임용) 2022개정 유치원 특수교육과정 총론 온라인암기장 | 유특 총론 빈칸연습 (1) | 2025.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