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교과교육론&모형

[초등임용 국어] 고쳐 쓰기 방법, 쓰기 상황 맥락

by 온암 2023. 8. 13.

온암의 생각상자

고쳐쓰기 서브노트

1. 인지주의 작문이론 관점에서 고쳐쓰기
  
가.  회귀성이 높은 필자일수록 점검/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함; 회귀성이 높을수록 고쳐쓰기에 적극적 2021중등
  나. 능숙한 필자는 고쳐쓰기 단계에 시간 투자 多; 초고쓰기 단계에서는 형식적 완결성이 느슨하고, 고쳐쓰기 단계에서 형식적 완결성을 보완함 2011중등
  참고대신 능숙한 필자는 초고를 쓸 때 주제에 벗어난 내용이 적게 작성함; 주제와 통일성을 이루어야 함
  다. 상위 인지를 강조하여 프로토콜 분석과 잘 어울림

2. 고쳐쓰기 수준: 글 → 문단 → 문장 및 낱말 수준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 2021초등

3. 고쳐쓰기 방법: 첨가, 삭제, 대체, 이동, 재배열 //첨삭대이재

  가. 첨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ø → a)
  나. 삭제: 특정한 내용을 제거(a → ø)
  다. 대체: 같은 위치에서 알맞은 내용으로 교체(axc → abc)
  [참고] 적절하지 않은 제목을 교체하는 것은 대체에 해당
  라. 이동: 글 흐름이 적절하도록 문장 안에서 위치를 바꿈(acb → abc)
  마. 재배열: 글 흐름이 적절하도록 문단 순서를 바꿈(ACB → ABC)



4. 상황 맥락(작문의 상황 요인)에 맞게 글을 개선해야 함
  가. 쓰기의 상황 맥락: 목적, 주제, 독자의 요구 //관련 국어과 기능: 독자 분석하기
  나. 고쳐쓰기의 목적: 독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글을 개선하는 것

5. 고쳐쓰기 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는 항목
  가. 글의 목적
  나. 글의 주제
  다. 독자의 흥미
  라. 형식(글의 구성)
  마. 표현의 적절성


연습문제

1. 고쳐 쓰기 방법 중 문단 수준에서 위치를 바꾸는 것은? 재배열
2. 고쳐 쓰기 방법 중 특정한 내용을 빼는 것은? 삭제
3. 고쳐 쓰기의 목적은 독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4. 인지주의 작문이론 관점에서 초고 쓰기는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고쳐쓰기는 형식의 완결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