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미술 교과교육론 파트를 잘 학습했는지 점검하는 연습문제표입니다. 모두 20문제입니다. 복습해야 할 부분이 어디인지 파악하시고 채우시면 좋겠습니다.
1 | 인류와 자연의 공존을 지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 기초한 미술교육은? | 생태학적 미술 교육 |
2 | [조형원리] (??) : 선이나 형의 패턴에서 생기는 것으로 경쾌한 리듬감을 준다. | 율동 |
3 | [로웬펠드] 난화기의 종류 3가지 1) (ㄱ)한 난화기: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2) (ㄴ)하는 난화기: 일정한 선을 반복하는 등 손과 뇌의 협응이 이루어지는 단계 3) (ㄷ)하는 난화기: 난화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는 단계 |
무질서, 조절, 명명 |
4 | 가드너의 감상 능력 발달 단계 5단계를 설명하시오. |
지각의 단계 |
5 | [미술과 평가 방법] 학생들이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해적 측면이나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 발표 및 토의법 |
6 | 미술 교육의 흐름 중 문화의 다양성을 강조하며, 학생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미술 교육은? | 다문화 미술 교육 |
7 | [미술과 모형] 미술과의 교수학습 모형 중 미술 작품이나 미적 대상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명료화하고 스스로 반응에 가치를 부여하는 모형은 무엇인가? | 반응 중심 학습법 |
8 | [미술과 모형] 직접 교수법 1) 문제 인식 - 학습 목표, 동기유발 2) 설명 및 시범 3) 질의 응답 - 질문을 통해 이해도를 확인, 이 단계를 생략하고 연습 활동 단계에서 확인 가능 4) 연습 활동 5) 작품 제작 -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 제작 6) __________ - 완성한 작품을 통해 환류가 이루어짐 |
정리 및 발전 |
9 | 다음 <보기> 발문과 어울리는 펠드만의 미술 비평 단계를 쓰시오. <보기> 어떤 재료와 용구를 사용했는가? 그들을 사용했을 때 효과는 어떠한가? |
분석 |
10 | [조형요소] (??) : 연속적인 선에 의하여 표현되는 조형 요소 | 면 |
11 | [미술과 모형] 미술과의 교수학습 모형 중 표현 기법 따위를 교사의 설명 또는 시범으로 지도하기 적합한 모형은? | 직접 교수법 |
12 | [조형원리] (??) : 명/채도, 선, 형/형태 등이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 | 점증, 점이 |
13 | [조형요소] (??) : 물체가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거나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표면적 특성, 아래 2가지로 분류 가능 1) 손으로 만졌을 때 느낄 수 있는 (??) 2) 실제 작품을 만지면 느껴지지 않지만, 눈으로 느낄 수 있는 (??) |
질감, 촉각적인 질감, 시각적인 질감 |
14 | (ㄱ) -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이나 형의 패턴에서 생기는 것으로 리듬감을 주는 것 (ㄴ) - 같은 선이나 모양 따위가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 * (ㄱ)과 (ㄴ)에 들어갈 조형 원리를 쓰시오. |
율동, 반복 |
15 | 다음 <보기> 발문과 어울리는 펠드만의 미술 비평 단계를 쓰시오. |
해석 |
16 | [가드너] 감상능력 발달 단계 1) _____________ 2) 상징인식의 단계 3) 사실적 단계 4) 탈 사실적 단계 5) 예술적 위기의 단계 |
지각의 단계 |
17 | [로웬펠드] 발달 단계 이론에 따른 단계 1) 난화기 2) 전도식기 3) 도식기 4) _________ 5) 의사실기 6) 결정기 |
또래집단기 |
18 | [감상 능력 발달 단계] (??) : 지각의 능력에 사실적인 측면을 중요하게 보는 단계로, 사실적인 표현과 상징적인 표현 모두 골고루 격려해야 하는 단계 | 사실적 단계 |
19 | [조형원리] (??) : 두 성질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느껴지는 조형 원리 | 대비 |
20 | 시각 문화 정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미술 교육은? | 시각문화 미술 교육 |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교과교육론&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 모형, 체육 교육과정 모형 -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0) | 2023.08.16 |
---|---|
[초등임용 국어] 고쳐 쓰기 방법, 쓰기 상황 맥락 (0) | 2023.08.13 |
Krashen의 5가지 가설 정리 / five hypotheses (0) | 2023.08.01 |
초등임용 국어 읽기 전략 온라인암기장 (0) | 2023.07.28 |
초등 임용 국어 /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쓰기 전략 정리 (0) | 2023.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