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론 백과/국어

대화의 원리: 협력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by 온암 2023. 8. 9.

온암의 생각상자

들어가며

  우리는 다른 사람과 대화하며 친교, 정보 전달, 정서 표현, 설명 등 여러 목적을 달성하곤 합니다. 성공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무엇을 지켜야할까요? 대화 활동을 하는 중 고려해야 할 대화의 원리 2가지를 살펴봅시다.


 

협력의 원리

  협력의 원리란, 대화하는 사람의 말과 목적 또는 요구와 어울리도록 해야 한다는 원리

  1. 양의 격률: 대화 목적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 //TMI는 양의 격률 위배
  2. 질의 격률: 불확실한 정보(증거 불충분한 경우)나 거짓된 정보를 제공하지 말 것 //거짓말은 질의 격률에 위배
  3. 관련성의 격률: 대화의 주제에 알맞은 말을 할 것

  //탕수육을 찍먹할 것인가 부먹할 것인가 토의하는 중 갑자기 짜장면이 짬뽕보다 좋다고 말하는 경우 관련성의 격률 위배

  //딴소리하면 관련성의 격률 X
  4. 태도의 격률: 간단명료하게 말할 것
  참고 애매모호한 표현이나 중의적인 표현을 남발하면 태도의 격률 위배

  참고 대화 함축: 표면적으로는 협력의 원리(주로 관련성의 격률) 위배하지만, 함축적인 의미를 고려했을 때 대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
  예) (시험을 망친 민하에게) "오늘 아이스크림 가게에 새로운 맛이 나왔다는데, 가서 좀 먹을까?"
   → 관련성의 격률을 어긴 사례임
   → 함축적 의미: 시험 이야기는 그만하고 기분을 전환하자.



공손성의 원리

 협력의 원리가 대화 목적 달성을 위한 것이라면, 공손성의 원리는 대화 참여자간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대화의 원리

  1. 요령의 격률: 상대에게 부담 주는 표현 ↓,  상대에게 이익 되는 표현 ↑
  참고 질문 형식으로 대화하면 상대에게 부담을 줄일 수 있음
  2. 관용의 격률: 에게 이익이 되는 표현 ↓,  나에게 부담되는 표현 ↑
  3. 찬동의 격률: 상대에게 비방하는 표현 ↓,  상대를 칭찬하는 표현 ↑
  참고 상대를 칭찬하여 우호적 분위기 형성 가능
  4. 겸양의 격률: 자신을 칭찬하는 표현 ↓,  자신을 비방하는 표현 ↑
  5. 동의의 격률: 나와 상대의 일치점을 ↑; 이견(다른 의견)을 말할 때에는 상대방과 동의하는 부분을 공감한 후 말하기
  

  예제) 다음 표현은 공손성의 원리 중 무엇을 위배한 것인가?

"야! 한심하게 공을 거기로 차면 어떡해?"


  → 공손성의 원리 중 찬동의 격률을 어겼다. 상대를 비방하는 표현을 최소화하고 상대를 칭찬하는 표현을 최대화해야 한다.

  예제) 다음 표현은 공손성의 원리 중 무엇을 위배한 것인가?

"주은아, 네 설명이 어려워서 이해가 안 돼. 학 접는 방법을 쉽게 다시 설명해 줘."


   → 공손성의 원리 중 관용의 격률을 어겼다. 자칫하면 주은이를 존중하거나 배려하지 않은 표현이 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