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들어가며
우리는 다른 사람과 대화하며 친교, 정보 전달, 정서 표현, 설명 등 여러 목적을 달성하곤 합니다. 성공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무엇을 지켜야할까요? 대화 활동을 하는 중 고려해야 할 대화의 원리 2가지를 살펴봅시다.
협력의 원리
협력의 원리란, 대화하는 사람의 말과 목적 또는 요구와 어울리도록 해야 한다는 원리
1. 양의 격률: 대화 목적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 //TMI는 양의 격률 위배
2. 질의 격률: 불확실한 정보(증거 불충분한 경우)나 거짓된 정보를 제공하지 말 것 //거짓말은 질의 격률에 위배
3. 관련성의 격률: 대화의 주제에 알맞은 말을 할 것
//탕수육을 찍먹할 것인가 부먹할 것인가 토의하는 중 갑자기 짜장면이 짬뽕보다 좋다고 말하는 경우 관련성의 격률 위배
//딴소리하면 관련성의 격률 X
4. 태도의 격률: 간단명료하게 말할 것
참고 애매모호한 표현이나 중의적인 표현을 남발하면 태도의 격률 위배
참고 대화 함축: 표면적으로는 협력의 원리(주로 관련성의 격률) 위배하지만, 함축적인 의미를 고려했을 때 대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
예) (시험을 망친 민하에게) "오늘 아이스크림 가게에 새로운 맛이 나왔다는데, 가서 좀 먹을까?"
→ 관련성의 격률을 어긴 사례임
→ 함축적 의미: 시험 이야기는 그만하고 기분을 전환하자.
공손성의 원리
협력의 원리가 대화 목적 달성을 위한 것이라면, 공손성의 원리는 대화 참여자간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대화의 원리
1. 요령의 격률: 상대에게 부담 주는 표현 ↓, 상대에게 이익 되는 표현 ↑
참고 질문 형식으로 대화하면 상대에게 부담을 줄일 수 있음
2. 관용의 격률: 나에게 이익이 되는 표현 ↓, 나에게 부담되는 표현 ↑
3. 찬동의 격률: 상대에게 비방하는 표현 ↓, 상대를 칭찬하는 표현 ↑
참고 상대를 칭찬하여 우호적 분위기 형성 가능
4. 겸양의 격률: 자신을 칭찬하는 표현 ↓, 자신을 비방하는 표현 ↑
5. 동의의 격률: 나와 상대의 일치점을 ↑; 이견(다른 의견)을 말할 때에는 상대방과 동의하는 부분을 공감한 후 말하기
→ 공손성의 원리 중 찬동의 격률을 어겼다. 상대를 비방하는 표현을 최소화하고 상대를 칭찬하는 표현을 최대화해야 한다.
예제) 다음 표현은 공손성의 원리 중 무엇을 위배한 것인가?
→ 공손성의 원리 중 관용의 격률을 어겼다. 자칫하면 주은이를 존중하거나 배려하지 않은 표현이 될 수 있다.
'각론 백과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제자 원리 (0) | 2024.11.15 |
---|---|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 교섭적 성격 (0) | 2024.07.21 |
글의 구성 원리- 통일성의 원리, 일관성의 원리, 강조성의 원리 (0) | 2024.06.21 |
공감적 듣기 방법: 소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0) | 2023.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