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공감적 듣기 방법
1. 공감적 듣기: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며 듣는 것을 말함
참고 관련 2015 국어과 교육과정 기능: 경청/공감하기
2. 공감적 듣기 방법 //소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청킹 집격요반: 집을 격하게 요구하는 반장
가. 소극적 듣기 (= 소극적 들어주기 방법)
1) 집중하기: 대화 상대에게 적절한 표정/몸짓을 하고 눈을 맞추어 집중하는 것
예) (자연스럽게 눈을 맞춘다.)
2) 격려하기: 대화 상대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도록 반응하며 배려하는 것 2007중등
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해 봐.
나. 적극적 듣기 (= 적극적 들어주기 방법) 2021중등
1) 요약하기: 상대의 말을 객관적으로 요약해주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참고 적극적 듣기를 하면 대화 상대가 객관화할 수 있음
예) 친구와 산책을 하다가 새똥을 어깨에 맞았구나.
2) 반영하기: 상대의 말을 재구성해서 되돌려주는 것
예) 우리 진호 많이 속상했겠네.
3. 공감적 대화 시 주의사항
가. 상대의 말에 대해 충고하거나 조언하지 않기
나. 상대의 감정을 가벼이 여기고 설득하려 하지 않기
다. 상대의 잘못 지적하지 않기
라. 내가 궁금한 점만 질문하지 않기
연습문제
1. 공감적 듣기 방법 4가지? 집중하기, 격려하기, 요약하기, 반영하기
2. 아빠가 유진이를 바라보며 고개를 끄덕인다면 소극적 들어주기 방법 중 무엇을 지킨 것인가? 집중하기
3. 상대의 말을 재구성해서 되돌려주는 것은 적극적 들어주기 방법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반영하기
4. 다음 대화에서 원우의 말에서 문제점: 상대방의 감정을 가볍게 여겼다.
준서: 배드민턴을 잘 치고 싶은데 연습해도 잘 늘지 않아.
원우: 준서야, 그렇게 불평하기만 하면 배드민턴 실력이 늘지 않아.
'각론 백과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제자 원리 (0) | 2024.11.15 |
---|---|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 교섭적 성격 (0) | 2024.07.21 |
글의 구성 원리- 통일성의 원리, 일관성의 원리, 강조성의 원리 (0) | 2024.06.21 |
대화의 원리: 협력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0) | 2023.08.09 |
댓글